간호법 시행 코앞인데, 반발 여전…"PA 업무범위 확대 과도"

간호사 절반 "교육과정 부족", 97% "정부가 관리·감독해야"
PA 업무규칙 입법예고도 못 해…복지부 "하위법령 의견 수렴 후 추가 논의"

 기존 의료법에서 간호사 관련 내용을 떼어내 제정된 간호법이 오는 21일 시행되는 가운데 하위법령 제정을 두고 현장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간호계는 진료지원(PA) 간호사 업무범위에 관한 정부 규칙안이 환자와 간호사의 안전을 동시 위협한다고 주장한다.

 12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간호법 하위법령인 진료지원 간호사의 업무 기준과 내용에 관한 규칙을 두고 간호계가 연일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업무범위와 교육주체, 자격 부여 방식 등을 놓고 정부와 간호계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지난 5∼11일 간호사 5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92.9%가 'PA 간호사 업무범위 확대가 과도하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 '간호사에게 법적·의료적 책임을 전가할 수 있다'(90.6%·복수응답), '환자나 간호사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71.5%), '고시로 정해진 업무범위 외에도 현장에서 업무가 더 늘어날 수 있다'(67.9%) 등의 답변이 나왔다.

 또, 응답자의 50.4%는 '정부가 발표한 PA 간호사에 대한 교육과정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의료연대는 "PA 간호사 업무범위에 포함된 '골수천자'는 뼈를 뚫어서 검체를 채취하는 부작용이 큰 행위"라며 "교육만 받으면 간호사가 이러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정부 방침은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97.1%는 '정부가 PA 간호사 제도를 관리·감독해야 한다'며 정부 책임 강화를 요구했다.

 이날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의료연대본부 기자회견에 참석한 서울대병원 소속 이희승 간호사는 "병원장이 PA 간호사에게 시키지 않겠다고 한 말초정맥관 삽입을 PA 간호사가 한 사례도 있었다"며 "체계적인 관리체계 부재로 현장에서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간호협회(간협)는 이 하위법령이 간호법의 본래 취지를 훼손한다며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간협은 특히 PA 간호사 교육을 '신고제'로 할 경우 교육의 일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전담간호사 자격증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탓에 하위법령인 진료지원인력에 관한 규칙은 아직 입법예고조차 진행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하위법령 시행 전까지 기존의 간호사 업무관련 시범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박혜린 복지부 간호정책과장은 "공청회 이후 하위법령에 대한 의견을 계속 듣고 있다"며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서 입법예고 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