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중 심박수 변동성, 뇌졸중·우울증·인지장애 경고 신호"

스위스 연구팀 "수면 중 심장 리듬-미래 건강 간 강한 연관성 발견"

 수면 문제가 없어도 잠잘 때 나타나는 심박수 변동성(HRV:heart rate variability)을 통해 뇌졸중이나 우울증, 인지기능 장애 같은 미래 건강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베른대학병원 이리나 필첸코 박사팀은 24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유럽신경학회 연례회의(EAN Congress 2025)에서 4천여명에 대한 관찰 연구에서 수면 중 심장 리듬과 미래 건강상태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성인 4천170명의 수면 중 심박수 변동성을 측정하고 이들의 뇌졸중, 우울증, 인지기능 장애 등 위험을 평균 3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수면 중 심박수 변동성의 특정 패턴이 미래의 뇌졸중, 우울증, 인지기능 장애 등에 대한 경고 신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박수 변동성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불규칙한 패턴을 보이면 뇌졸중 위험이 높고, 반대로 심박수 변동성이 작은 사람은 우울증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변형된 주파수 패턴을 동반한 높은 HRV는 대사질환 위험과 연관성이 컸고, 높은 HRV는 심혈관 질환 및 내분비 질환과도 연관된 것으로 분석됐다.

 필첸코 박사는 "심박수 변동성은 호흡, 소화 등 생명 유지 기능과 내외적 요인에 대한 몸의 적응 등에 중요한 자율신경계의 조절 능력을 반영하기 때문에 뇌와 전반적인 건강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야간 심박수 변동성은 수면 중 신체 작동을 보여주는 독특한 창을 제공한다"며 "이는 수면이 세포 복구, 기억 형성, 뇌의 대사성 노폐물 제거 등 건강을 좌우하는 많은 생리적 과정이 일어나는 시간이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HRV가 질환의 증상 발현이나 진단 전에 신체 기능의 미세한 변화를 보여주는 생리적 지표가 될 수 있다"며 "HRV를 통해 일반적인 수면 지표들이 놓친 위험을 포착한 이 연구는 최적의 수면에 대한 정의와 측정 방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 출처 : European Academy of Neurology (EAN) Congress 2025, Irina Filchenko et al., 'Sleep and longevity: insights from sleep macroarchitecture and nocturnal heart rate variability'.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알아두면 좋은 술의 상식
지난 칼럼에서 필자는 중국술에 대해 알아봤다. 바다 건너 일본술도 한번 살펴볼까 한다. 흔히 '니혼슈'(日本酒), 혹은 사케라고 하는 일본의 전통술은 종류가 약 1만2천여 가지나 된다. 사케는 일본의 대표적인 술로, 쌀을 발효해서 만든다. 일본의 유명한 사케 산지 역시 물이 좋은 곳, 쌀이 좋은 곳이다. 술맛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요소는 물이다. 물이 좋으면 쌀이 좋고, 좋은 쌀로 만든 술이 맛있는 법이다. 일본의 유명한 사케 명주는 대개 물이 좋은 곳에서 나오고, 술을 담그는 데 사용한 쌀 품종까지 밝힌다. 그런 일본 명주는 주로 니가타현에서 많이 나온다. 니가타현 하면 쌀이 좋기로 유명한데, 태평양 쪽에 있는 일본의 높은 산 위에 내린 눈이 녹아 흐른 물로 농사를 짓는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물 좋고 쌀 좋은 데를 꼽아보자면 경기도 이천이 있다. 그래서 국내산 맥주는 대부분 이천의 물로 만들었고, 지금도 맥주 공장이 있다. 일본 소주도 아주 유명하다. 원래 일본에는 소주가 없었는데, 우리나라 진로 소주가 일본에서 인기를 끌다 보니 소주를 주조하게 됐다. 쌀로 만든 소주, 보리로 만든 소주, 고구마로 만든 소주 등 종류는 다양하다. 일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