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앞에서 의사가 간호사에 '버럭'…"명백한 직장 내 괴롭힘"

강릉아산병원 노조 "가해자 징계는커녕 사과도 없는 병원 규탄"
가해 의사 분리 조치…병원 "철저한 조사 후 합당한 조치 예정"

  강원 영동지역 종합병원인 강릉아산병원에서 환자 등이 있는 가운데 간호사들에게 폭언한 의사에 대한 엄중 처벌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강릉아산병원 노조는 2일 병원 정문 앞에서 '갑질·폭력 의사 엄중 처벌 촉구 및 직장 내 괴롭힘 방관을 조장하는 강릉아산병원 규탄대회'를 열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달 12일 오후 8시 10분께 병원 내 한 병동에서 의사 A씨가 간호사들에게 폭언하고, 바닥을 발로 내려찍는 등 난폭 행위를 한 데 이어 휴게 공간에서 간호사 2명을 상대로 소리를 지르는 등 위협을 이어갔다.

 A씨는 환자 치료 과정에서 간호사들이 자신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다고 생각해 이러한 행위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 간호사들은 사건 직후 노조를 통해 대책 마련을 촉구했으나, 병원 측에서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자 노조 차원에서 이날 규탄대회에 나섰다.

 노조는 "의사가 병동 내에서 고성과 난동을 벌이고 간호사들을 밀폐된 공간에 몰아넣어 벽을 주먹으로 여러 차례 내려치는 등 위협적인 행동을 한 사건"이라며 "이는 의료 공간 내에서 결코 용납될 수 없는 물리적 폭력으로, 명백한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어 "병원은 가해자 징계는커녕 공식적인 사과조차 하지 않고 있다"며 "병원 측이 사태를 축소·은폐하려는 태도로 일관해 피해 간호사들은 공포와 불안 속에서 일터에 남겨져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환자를 볼모로 법과 사람 위에 군림해 보고자 하는 의사와 병원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병원 내 직장 내 괴롭힘, 폭력, 갑질 횡포 행위에 대한 규탄 및 재발 방지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병원 측은 사건을 접한 지난달 중순께 A씨와 피해 간호사들을 분리 조치한 뒤 사건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날 오전 사내 게시판에 진료부원장 명의로 된 사과문을 게시했다.

 이를 두고 노조 측은 규탄대회를 예고한 이후인 지난달 26일이 돼서야 해당 의사가 업무 조정되 면서 분리 조치가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병원 관계자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현재 공정하고 철저한 조사가 진행 중으로, 신속하고 책임감 있는 자세로 조사 결과에 따라 합당한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강릉아산병원 규탄대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