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일 조간)

▲ 경향신문 = '최혜국 지위' 받은 대미 관세 협상, 위기·기회 함께 있다

8월로 잡힌 한·미 정상회담, 동맹 강화 초석 되길

▲ 국민일보 = 관세 협상 타결… 후속 대책과 산업 경쟁력 강화 절실

한·미 정상, 8월 회담서 '케미' 잘 맞춰 동맹 더 강화하길

증세로 방향 바꾼 세제 개편… 기업 규제 완화 수반돼야

▲ 동아일보 = 한미 관세협상 타결, '큰 산' 하나 넘었지만…

2주 내 한미 정상회담…동맹 조율 '더 큰 고비' 남았다

증세 몰아치는 정부…지출 구조조정 병행할 때

▲ 서울신문 = 한 고비 넘긴 '관세 15%'… 세부 협상서 끝까지 국익 최선을

관세 담판서 빠진 '안보'… 무게중심 더 쏠린 한미 정상회담

기업부담 가중법, "배임죄 완화"… 경제계는 혼돈

▲ 세계일보 = 韓·美 관세협상, 출혈 적지 않지만 최악은 피했다

2주 내 새 정부 첫 한·미 정상회담, 신뢰 재구축이 관건

"증세로 5년간 세수 35조 증가", 장밋빛 전망 아닌가

▲ 아시아투데이 = 쌀·소고기 지키고 15%로 낮춘 관세협상 선방했다

▲ 조선일보 = 관세 타결과 한미 정상회담, 큰 고비는 넘었다

'관세 이후' 한국 경제 진짜 생존 전쟁 시작됐다

상식 밖 '대주주' 규정, 정치적 '딱지 붙이기' 그만해야

▲ 중앙일보 = 민심과 계속 거꾸로 가는 국민의힘 … 퇴행 어디까지

관세 협상 일단 '선방' … 진짜 숙제는 이제부터다

▲ 한겨레 = '내란 재판' 놔두고 휴가 떠난 지귀연 재판장

세제개편 윤석열 감세정책 정상화, 올바른 방향이다

한-미 무역협상 안도, 산업공동화 방지 힘 기울여야

▲ 한국일보 = 한미정상회담, 트럼프가 내밀 '안보 청구서' 대비를

큰 파도 넘은 관세협상… 세부 조율 만전 기해야

박박 긁어 5년간 35조 세수 확보… 씀씀이도 잘 살피길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한미 상호관세 15%로 전격 타결, 급한 불은 껐다

늘어난 세수, 퍼주기 아닌 경제 활성화 마중물로 써야

▲ 디지털타임스 = 관세협상, 이제 진짜 시작… 끝까지 최선 다해 유종의 미 거두라

한미정상회담 성사… 친중·친북 의구심 끊어낼 전환점 되길

▲ 매일경제 = 쌀·소고기 지킨 대가 너무 컸다

관세협상만큼 중요한 한미정상회담, 동맹신뢰 다지는 계기로

제조업 공동화 걱정인데 與는 反기업법·증세 속도전

▲ 브릿지경제 = 배임죄 등 '경제형벌' 합리화 당연하다

▲ 서울경제 = 무역협상 타결로 질서 재편, 민관 힘 모아 재도약해야

"기업 활동 위축 않게 해야"…노란봉투법 강행 멈추고 숙의하라

▲ 이데일리 = 병원 방문 OECD 1위, 이대로 건보 재정 온전한가

한미 관세협상 타결, 경제동맹 업그레이드 계기 돼야

▲ 이투데이 = '자율주행' 신뢰 확보가 우선이다

▲ 전자신문 = OLED 핵심기술, 中 유출 막아야

▲ 파이낸셜뉴스 = 법인세 인상에 노란봉투법 강행, 기업은 속이 탄다

한미 협상 타결, 독소조항·이해득실 꼼꼼히 따져야

▲ 한국경제 = 관세 15%는 또 다른 시험대 … 경제·산업 체질 개선 시급하다

SK '배터리 살리기' 승부수 … 정부도 '미래 먹거리' 지원해야

日 "우리 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경북신문 = '감방 안 가면 다 해주라' 적극 행정…62조 원 확보

▲ 경북일보 = 정계 은퇴·복귀, '국민 요청'이라 말하지 말라

한미 관세 타결, 국내 철강산업 최대 위기

▲ 대경일보 = 포항시 '희망동행 특례보증' 확대·지속돼야

본격적인 피서철을 맞은 우리의 준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