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30개월이상 사용시 폐암위험 4.6배"…첫 역학증거

"가습기살균제 장기 사용이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첫 역학증거 제시"

  가습기살균제 사용 기간이 30개월 이상일 경우 5개월 미만 사용자에 비해 폐암 위험이 4.6배에 달한다는 의료계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 기간에 따른 폐암 발생 위험을 밝혀내 가습기살균제 장기사용이 폐암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역학증거가 제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선 3천605명 중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된 지 4년 후 폐암으로 진단된 피해자는 121명이었다.

 가습기살균제 사용 기간별 폐암 환자 수는 5개월 미만 2명, 5∼14개월 14명, 15∼29개월 23명, 30개월 이상 82명이었다.

 30개월 이상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다는 비율은 폐암 환자에서 67.9%(82명)로, 폐암으로 진단되지 않은 피해자 그룹의 41.3%(1천440명)에 비해 훨씬 높았다.

 연구팀은 가습기살균제 사용기간과 폐암 발생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성별과 연령, 교육 수준, 흡연 상태, 가습기와의 거리 등 질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요인을 보정해 분석했다. 결괏값에 혼란을 주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다.

 그 결과 가습기살균제 사용기간 5개월 미만 그룹을 기준으로 했을 때 사용기간이 30개월 이상인 그룹의 폐암 위험은 4.6배, 15∼29개월 그룹은 2.45배, 5∼14개월 그룹은 1.81배였다.

 연구팀은 가습기살균제의 장기간 사용이 폐암 발생의 위험과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는 기존의 동물 실험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장기간 가습기살균제 사용이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역학적 증거를 제시한 첫 사례"라면서도 "결과를 확증하기 위해서는 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NIER) 지원으로 수행됐다.

2011년 세상에 드러난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현재까지 정부가 인정한 피해자만 5천908명에 달하는 최악의 환경 참사다.

정부는 이번 달 초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단체 대표와 간담회를 진행하고 사과와 함께 제도 개선을 약속했다. 지난해 6월 대법원은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국가도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고, 정부는 '사회적 합의를 통한 종국적 해결'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생수 구입할 때 '미세플라스틱 인증' 지불의사액 1천68원
친환경 제품을 사도록 유도할 때 환경성뿐 아니라 '건강'과 같이 소비자에게 돌아오는 이득을 함께 강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한국환경연구원이 발간한 '지불의사액 추정을 통한 친환경 인증제도 개선방안 마련 연구' 보고서를 보면 생수의 경우 '저탄소 인증'에 대한 지불의사액이 896원으로 나타났다. 저탄소 인증은 '환경성적표지'를 받은 제품 중 생산과정에서 동종 제품 평균보다 탄소를 덜 배출한 제품에 부여된다. 생수 미세플라스틱 인증에 대한 지불의사액은 인증 등급이 올라갈 때마다 1천68원으로 분석됐다. 미세플라스틱 인증은 업계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인증으로 5㎛(마이크로미터)∼5㎜ 미세플라스틱이 나오지 않으면 받을 수 있다. '5㎛ 이상 불검출', '20㎛ 이상 불검출', '45㎛ 이상 불검출' 등 인증 등급은 3단계로 나뉜다. 지불의사액은 올해 1월 21∼23일 전국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도출됐다. 세탁세제의 경우 환경표지 인증 지불의사액은 1만5천575원이었고 영유아와 임신부에게 안전한 제품임을 나타내는 '맘가이드 클린마크'와 형광증백제가 들어가지 않은 제품에 부여되는 인증에 대한 지불의사액이 각각 6천809원과 1만7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