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수치료 전국 최고 60만원·최저 300원…약침술은 10원∼30만원

복지부·심평원, 올해 비급여 항목 693개 진료비 공개…64%가 가격 인상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진료비를 전액 부담하는 비급여 항목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도수치료의 가격이 전국적으로 최대 2천배 가까이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 진료 중 약침술의 경우 전국 최저는 10원, 최고는 30만원으로 3만배나 가격이 벌어졌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의료기관별 2025년 비급여 진료비를 심평원 홈페이지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건강이(e)음'에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

 올해는 전체 의료기관의 비급여 항목 693개가 공개됐다.

 양 기관이 올해 비급여 진료비의 가격 변동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와의 공통 항목 571개 중 367개(64.3%)의 평균 가격이 인상됐다. 평균 가격이 인하된 항목은 191개였다.

 하지만 지난해 6월 대비 올해 6월 물가상승률(2.2%)을 고려했을 때는 올해 비급여 진료비 평균 금액이 하락한 항목이 429개로 더 많았다.

서울 지역 전체 의료기관의 도수치료 비용 검색 결과

 비급여 항목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도수치료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보다 1.3% 올랐다.

 상급종합병원부터 의원까지 전체를 통틀었을 때 도수치료비 전국 최고값은 60만원이고, 최저값은 300원이었다. 중간값은 10만원이었다.

 일반 국민이 쉽게 찾는 의원으로 범주를 한정해도 최고 50만원, 최저 300원으로 여전히 가격 차가 컸다.

 도수치료 외에 수요가 많은 주요 비급여 항목 가운데 약침술이나 임플란트도 가격 편차가 컸다.

 전체 의료기관을 통틀어서 약침술의 전국 중간 가격은 1만원이었는데 최고가격은 30만원, 최저 가격은 10원(0원인 곳 제외)으로 무려 3만배 차이가 났다. 약침술은 약물을 경혈에 주입함으로써 침과 한약의 작용을 병행하는 시술이다.

 지르코니아 재료를 쓰는 임플란트의 경우 비급여 진료비는 치아 1개당 최고 990만원, 최저 7만9천원, 중간은 115만원이었다.

 같은 비급여 항목이라도 의료기관 인력이나 시설, 시술 난도 등에 따라 금액이 다를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도 큰 차이가 나는 셈이다.

 올해 새로 공개된 비급여 항목 중 백내장 진단에 쓰는 샤임프러그 사진촬영 검사(중간 6만5천90원)의 경우 전국 최고는 200만원, 최저는 5천400원이었다.

 복지부와 심평원은 합리적 선택을 위해 홈페이지에서 각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를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권병기 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앞으로도 소비자·의료계 등 여러 분야의 의견을 듣고 국민의 비급여 진료 선택에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비급여 가격공개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부산대 연구팀 "산모 환경호르몬 노출, 자손 후각 발달 악영향"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내분비계 교란물질에 산모가 임신기 및 수유기에 노출되면 자손의 정상적인 후각 신경 발달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부산대는 분자생물학과 정의만 교수 연구팀이 임신 중 초기 신경 발달 시기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이 후각 신경 및 후각 신경의 기원인 뇌실하 영역에서 세포사멸을 일으키는 것을 발견하고 그로 인해 냄새 탐지 능력이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내분비계 교란물질'은 체내 호르몬의 정상 기능을 교란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다. 이 물질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화장품, 캔, 플라스틱, 페인트, 의약품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인간에게 무분별하게 노출되면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돼 왔다. 정 교수팀은 알킬페놀 계열의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옥틸페놀이 마우스의 후각 신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후각 신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뇌 발달이 활발히 진행되는 임신기부터 수유기까지 어미 마우스에 옥틸페놀을 투여해 자손 마우스가 옥틸페놀에 노출되도록 했으며, 이를 성체가 될 때까지 사육하며 영향을 분석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