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0일 조간)

▲ 경향신문 = 기후위기 시대, 명실상부한 '환경 중시 국정' 펴가야

권성동 체포동의안, '종교계 선거개입' 단죄 계기로

野와 악수한 다음날 '野 해산' 말한 與 대표

강성 여론몰이에 맞선 박희승, 곽상언 의원의 용기

▲ 동아일보 = 美 "훨씬 더 많이 단속 나설 것" … 제2 '조지아 구금 사태' 막아야

'장기 검토' 딱지 붙여놓고 마냥 뭉개는 中企 규제만 1444건

'매뉴얼 지옥'이 된 학교… 짓눌린 교사들, 실종된 현장교육

▲ 서울신문 = OECD 밑도는 공교육비…대학경쟁력 높일 지렛대 있어야

野와 악수 다음날 "내란 청산"…정 대표, 협치 끈 놓지 말길

권력비판 봉쇄 '징벌적 배상', 쏟아지는 우려 새겨들어야

▲ 세계일보 = 협치 약속 하루 만에 야당 해산 겁박한 與 대표

중·러 뒷배 삼은 김정은 핵 무력 위협, 철저히 대비하길

이번엔 KT 소액결제 피해, 해킹 막을 근본 대책 세워야

▲ 아시아투데이 = 與대표 내란만 26회 언급…여야협치 어디로 갔나

"내란 특별재판부 극히 위험" 與내부 비판 새겨들어야

▲ 조선일보 = 정 대표는 정말 '여의도 대통령'인가

'가짜 뉴스 징벌법' 대상에서 김어준 제외해주나

선거 9개월 앞두고 野 시도지사 절반을 수사한다니

▲ 중앙일보 = 구금 근로자 귀국이 문제의 끝 아니다

협치 기대 하루 만에 찬물 끼얹은 정청래 대표

▲ 한겨레 = 정청래 대표 국회 연설, 내란청산·민생회복 같이 가야

관세 후속협상, 속도 내되 일본처럼 돼선 안된다

혈연·혼인 관계없이 다양한 가족의 권리 보장 필요

▲ 한국일보 = 정치복원 악수 하루 만에 '국민의힘 해산' 운운한 정청래

정부 "자진 출국", 美 장관 "추방" … 외교 작동되고 있나

尹 내란재판 속도 내고, 특별재판부 논의 접어야

▲ 글로벌이코노믹 = 국민 눈높이 정부조직 개편의 조건

단속장벽에 막힌 한국기업 대미 투자

▲ 대한경제 = 미국에 '특별 취업비자' 등 제도 개선 당당히 요구해야

안전 기본조차 무시하면서 정부 중복 점검 불평할 수 있나

▲ 디지털타임스 = 국민 공분 야기 '美 구금' 사태, 한미동맹 균열로 이어져선 안돼

김어준에 "머리 숙일 생각없다" 곽상언, 용기있는 정치인이다

▲ 매일경제 = 문명사적 전환기, 위기 극복의 길 제시한 세계지식포럼

긴축 호소한 佛 총리 불신임… 재정중독 이렇게 무섭다

"내란재판부, 尹계엄과 같다"는 與 의원 지적 귀 기울여야

▲ 브릿지경제 = 배임죄 등 경제형벌 개선이 더 급하다

▲ 서울경제 = "내란 정당 해산" 악수 하루 만에 '협치' 걷어찬 與대표

美구금 사태도 관세 후속협의도 관건은 '악마의 디테일'

"로봇 생산 국내로" 노란봉투법 勞횡포 점입가경

▲ 이데일리 = 2051년 물가 압력 2배… 한은 극한 기상 보고서 주목해야

매년 56곳씩 늘어나는 公기관… 뒷감당은 누가 하나

▲ 이투데이 = '전기 먹는 하마' 인공지능에 대한 오해

▲ 전자신문 = 가상자산 거래업, 벤처 허용 당연하다

▲ 파이낸셜뉴스 = 여당·재계 잇단 회동, 메아리 없다면 무의미

재생에너지 확대 필요하나 급진, 과속은 경계를

▲ 한국경제 = 與, '검찰·사법·언론 무소불위' 비판 앞서 입법 독주도 돌아봐야

노조법 이어 60%대 온실가스 감축까지, 기업들 숨막혀 죽는다

"한 번 늘린 복지 지출은 못 줄인다" … 佛 내각 붕괴의 교훈

▲ 경북신문 = '공공기관 왕국' 산업부… 주요 공기업 빼앗겨

▲ 경북일보 = 정청래-장동혁, 상호 비방전 멈추고 정치하라

정부 노동 정책 '친고용'으로 전환해야

▲ 대경일보 = 정쟁에 희생돼선 안 될 포항시 '그래핀 조례'

우리사회의 당면한 갈등, 적극적인 해결 노력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노인층이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질병 발생과 사망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것은 노화와 함께 폐에서 증가하는 아포리포단백D(ApoD)라는 단백질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농업대와 중국과학원 미생물연구소, 영국 노팅엄대와 에든버러대 공동 연구팀은 10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65세 이상 노인과 고령 생쥐의 혈액 분석과 A형 독감 바이러스(IAV) 감염 실험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노인과 고령 생쥐 혈청에서 모두 젊은 층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ApoD가 검출됐고, ApoD의 과도한 생성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이 발견을 노인층을 독감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은 고령 인구에서 젊은 층보다 훨씬 더 높은 질병 발생과 사망률을 유발하지만, 이런 중증 감염에 노화 과정이 어떻게 관여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영국 노팅엄대 킨차우 창 교수는 "노화는 독감 관련 사망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빠른 고령화 속에 보건과 경제에 큰 문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며 "독감이 노인 환자들에게 더 치명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