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고위급 보건회의 "노인이 사회경제 주체되도록 정책 강화"

제15차 APEC 보건과 경제 고위급 회의 공동성명문 채택
"의료 AI 적극적 도입…이상 기후 등 환경변화도 대응해야"

 아시아태평양 지역 장관 등 보건 분야 고위급 인사들이 저출산·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이 사회·경제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막을 내린 제15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보건과 경제 고위급 회의(HLMHE) 브리핑에서 21개 회원경제(member economies)가 이런 내용의 공동성명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공동성명을 통해 회원경제들은 ▲ 건강하고 활기찬 고령 사회 구현 ▲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한 보건 시스템 구축 및 접근성 강화 ▲ 디지털 헬스 및 인공지능(AI)을 통한 보건혁신 촉진 ▲ 지역사회 기반 보건·돌봄 서비스 강화 ▲ 회복력 있고 효율적인 보건의료 공급망 구축 ▲ 생애주기별 통합적 암 관리 확대 등에 합의했다.

 그러면서 "공동성명문에서는 노인이 단순히 보호 대상이 아니라 사회와 경제의 주체로 활발히 활동하도록 정책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이를 두고 "일이나 사회적 활동 등을 활발히 하면서 사회에 기여도 할 수 있는 노년을 보낼 수 있게끔 환경과 정책들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정 장관은 또 "코로나19는 보건 공급망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됐다"며 "보건 공급망 강화를 위해 필수의약품, 백신, 진단기기 등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데도 동의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에두아르도 페드로사 APEC 사무국장은 "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우리는 많은 것을 배웠다"며 "공급망의 가시성을 제고해 백신 자원이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고, 민간과 협력함으로써 다음 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회원경제들은 암 예방과 조기 검진, 치료 등 전 주기를 강화하고자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며 "자궁경부암 근절 등 여성 건강 증진이 아시아·태평양 보건 협력의 중요한 축임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신건강이 개인 삶의 질뿐만 아니라 경제 회복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회원경제들은 정신건강 서비스 확대, 조기 개입, 낙인 해소 노력을 촉구했다"며 "감염병 외에 만성질환에도 영향을 주는 이상 기후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고자 정보 공유와 지식 교류를 확대하는 등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