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용 방사선 업무 종사자 피폭선량, 1년 전보다 2.7% 감소

방사선사 > 의사 > 간호조무사 순…"보호 기구 잘 착용해야"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관리·운영·조작 등 업무에 종사하는 개인들의 방사선 노출량이 전년보다 2.7% 감소했다고 밝혔다.

 질병청이 최근 발간한 '2024년도 의료기관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11만3천610명이며, 이들의 1인당 연간 평균 피폭선량은 0.36mSv(밀리시버트)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종사자 수는 10만9천884명에서 3.4% 늘고, 1인당 피폭선량은 0.37mSv에서 2.7% 감소했다.

 법령에 따른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유효선량 한도는 연간 50mSv, 5년간 누적 100mSv다.

 지난해 피폭선량을 직종별로 보면 방사선사가 0.73mSv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의사(0.25mSv), 간호조무사(0.22mSv), 치과의사(0.18mSv), 업무보조원(0.16mSv), 치과위생사(0.15mSv), 간호사(0.13mSv) 등의 순이었다.

 피폭선량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증가했는데, 20대 방사선사의 피폭선량이 1.25mSv로 가장 많았다.

 질병청은 "방사선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하지만 불필요한 과다 노출은 암 발생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며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개인 피폭 선량계와 방사선 방어 앞치마 등의 기구를 올바르게 착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