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 현장 복귀 후 세종지역 구급차 병원 도착시간 단축

9월 환자 이송시간 작년보다 평균 1분21초 짧아, 체감 이송거부↓
"진료과·응급실 의료진 충원·협진 영향 환자 수용 가능해져"

 지난해 2월 의정 갈등으로 촉발된 의료 파업에 참여하면서 병원을 떠났던 의료진이 올해 의료 현장에 복귀한 이후 세종지역 구급차 환자 이송 시간이 평균 1분 이상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세종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1∼24일 구급대가 797차례 사고·사건 현장에 출동해 환자를 이송했다.

 출동 현장별 평균 병원 도착시간은 17분5초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분21초 단축됐다.

 당시 의료진이 부족해 병원에선 환자 이송을 거부하는 사례가 빈번했고, 구급대원들은 진료할 수 있는 병원을 찾느라 도로 위에서 시간을 허비했다.

 최근 구급차 병원 도착시간이 줄어든 것은 종합병원인 세종충남대병원 등 지역 의료현장에 응급실·각 진료과 의료진이 충원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에서 규모가 큰 세종충남대병원은 지난해 의료파업이 한창이던 시기 성인·소아 응급실을 제대로 운영하지 못했다.

 성인 응급실은 전문의가 부족해 지난해 9월부터 야간(오후 10시∼익일 오전 10시) 진료를 중단하고, 주간(오전 10시∼오후 10시) 진료만 했다.

 올해 3월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7명 가운데 4명이 잇따라 사직함에 따라 소아전문 응급실도 심야 진료를 중단했다.

 그러다 의료 파업이 해결될 기미가 보이면서 응급의학과 전문의 3명을 영입한 4월부터 성인 응급실을 연중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소아전문 응급센터도 7·9월 전문의 2명을 충원하면서 9월부터 주 4일·24시간 운영 체계를 갖추는 등 정상화 수순을 밟고 있다.

 의료진이 충원되고 진료 가능 시간이 확대되면서 현장 구급대원들이 체감하는 환자 이송 거부 사례가 줄어든 것으로 소방당국은 보고 있다.

 세종충남대병원 측은 "의료 현장에 진료과 교수진과 응급실 전문의 등이 충원되면서 협진할 수 있는 범위가 늘어나 환자 이송 시간이 단축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앞으로 병원이 안정화되고 의료진이 추가 충원되면 환자 이송 시간이 더 단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회장 "성분명 처방·한의사 엑스레이 허용시 총력 투쟁"
법정 의사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정부의 성분명 처방, 한의사 엑스레이(X-ray) 허용, 검체 검사제도 개편 등을 '악법'으로 규정하고 정부가 이를 허용할 경우 총력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범의료계 국민건강보호 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김택우 의협회장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연 전국 의사 대표자 궐기대회 대회사에서 이렇게 밝혔다. 김 회장은 "성분명 처방 강행은 곧 의약 분업의 원칙을 파기하는 것"이라며 "한의사에게 엑스레이 사용을 허용하는 것은 면허 체계의 근본을 훼손하는 의료 악법이고, 검체 검사 보상체계 개편도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보건복지부는 과도한 할인 관행을 개선하고자 검체 검사 보상체계를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검체 검사 위탁 비중이 높은 동네의원들 입장에선 수입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개편이라 개원가를 중심으로 특히 반발하고 있다. 김 회장은 "이 세 가지 악법은 국회와 정부의 정책 폭주에서 나온 처참한 결과물"이라며 "국회와 정부가 의료계 대표자들의 외침을 외면한다면 14만 의사 회원의 울분을 모아 강력한 총력 투쟁에 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궐기대회에 참석한 의사들은 "환자 안전 위협하는 성분명 처방 규탄한다", "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