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있어도 근력 강하면 사망위험 감소…악력으로 측정 가능"

美 연구팀 "약한 악력은 비만 관련 합병증 위험 지표…근력 유지·향상 중요"

 비만이 있어도 근육이 많고 근력이 강하면 비만으로 인한 장기 기능 손상 및 사망 위험이 낮고, 악력(grip strength)을 통해 이런 비만 관련 합병증 위험을 식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페닝턴 생의학연구소 윤 셴 박사와 강 후 박사팀은 22일 미국내분비학회 학술지 임상 내분비학 및 대사 저널(JCEM)에서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등록자 9만3천여명의 데이터를 이용해 악력과 비만 관련 장기 기능 손상 및 사망 위험 간 관계를 추적 관찰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셴 박사는 "이 연구는 근력이 비만으로 인한 장기 기능 손상 위험을 조기에 식별할 수 있는 지표임을 보여준다"며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악력이 비만 관련 위험을 일찍 찾아내 대응할 수 있는 저렴하고 실용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만성질환 위험과 사망률 예측 지표로 주목받는 악력과 비만 전 단계 진행 간 연관성 규명을 위해 UK Biobank 등록자 9만3천275명의 데이터를 분석, 악력과 비만 관련 장기 기능 이상 또는 사망 간 관계를 13.4년간 추적했다.

 체질량지수(BMI) 기준으로 비만 전 단계에 해당하는 참가자들을 양손 평균 악력에 따라 상·중·하 3개 그룹으로 나누고, 비만으로 인한 장기 기능 손상 및 사망 위험을 비교했다.

 추적 기간에 발생한 사망자는 모두 8천163명이었다.

 분석 결과 근육의 힘을 단순하게 측정하는 악력이 강한 사람일수록 비만 전 단계에서 비만으로  진행하거나 비만으로 인한 장기 기능 손상 또는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압식 악력계(Jamar J00105)로 측정한 악력이 표준편차 기준 1단위(약 10~12㎏) 증가할 때마다 비만으로 인한 장기 기능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약 14% 감소했다.

 또 악력이 가장 강한 상위 그룹은 하위 그룹보다 비만으로 인한 장기 기능 손상 위험이 20%,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23% 낮았다.

 악력이 강한 사람은 같은 비만 수준이라도 사망 위험이 약 4분의 1 정도 감소한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악력이 높을수록 비만 전 단계에서 비만으로 진행하거나 그로 인해 장기 기능 손상 또는 사망에 이르게 될 위험이 낮았다며 이는 근육량과 근력 유지 및 향상이 비만 관련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후 박사는 "이 연구는 근력이 신체 조성과 대사 건강을 연결하는 주요 생리학적 지표임을 보여준다"며 "근육의 힘을 유지하는 것은 과도한 체지방이 주요 장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방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출처 :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et al., 'Handgrip Strength and Trajectories of Preclinical Obesity Progression: A Multistate Model Analysis Using the UK Biobank', https://academic.oup.com/jcem/advance-article/doi/10.1210/clinem/dgaf521/8277450?login=true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사 X레이' 놓고 의사-한의사 충돌…입법예고 찬반 1만7천건
한의사의 엑스레이(X-ray)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을 놓고 의사와 한의사들이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법안 통과에 반대하는 의사들과 찬성하는 한의사들이 총결집하면서 입법예고 기간 1만7천건이 훌쩍 넘는 찬반 의견이 쏟아졌다. 국회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서영석 의원이 최근 대표 발의한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입법예고(10월 13∼22일) 마감을 앞두고 지난 21일 오후 3시 30분 현재 1만7천300건가량의 의견이 등록됐다. 비공개 의견을 제외하고 제목에 '찬성' 또는 '반대'가 표기된 의견만을 놓고 보면 반대가 1만1천여 건, 찬성이 3천500여 건 정도다. 이 개정안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책임자에 대한 규정을 바꾸는 내용이다. 현행 의료법은 의료기관 개설자 등이 방사선 장치를 설치하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관리책임자를 선임'하도록 했고, 관련 복지부령은 안전관리책임자의 자격을 의사, 치과의사, 방사선사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안은 '의료기관 개설자나 관리자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안전관리책임자가 되어'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즉, 한의사가 개설한 의료기관의 경우 한의사도 안전관리책임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