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5천220억 규모 'TROCAD' ADC 플랫폼 도입

트리오어와 최대 6개 타깃 독점 개발·실시권 확보

 셀트리온은 국내 바이오텍 트리오어와 종양 미세환경 선택적 활성화 플랫폼 'TROCAD'에 대한 기술실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5천220억원이다.

 트리오어는 2021년 설립된 신약 개발 플랫폼 기술 기반 바이오테크 기업이다.

 TROCAD는 항체·약물접합체(ADC)를 포함한 항체 기반 치료제에 적용 가능한 플랫폼 기술로, 암 조직에는 약물이 더 정확하게 도달하도록 하고 정상 세포에는 불필요하게 결합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중 기능을 갖춘 구조다.

 트리오어는 "셀트리온은 해당 기술을 활용해 6개 타깃을 대상으로 차세대 ADC 개발과 상업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2개 타깃에 대해서는 공동개발 옵션을 행사할 수 있고 옵션 행사 시 양사는 ADC 적용 기술 및 노하우를 공유한다"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화학물질·미세먼지에서 살아남기
◇ 백해무익 미세먼지 이번 칼럼에서는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에 의하면 매년 전 세계에서 700만명에 달하는 사람이 대기오염으로 사망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망원인 1위가 암이지만 인도에서는 사망원인 1위가 미세 먼지다. 공해를 유발하는 공장 대부분이 인도에 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인도는 공해 문제가 심각하다. 그런 데다가 인구밀도도 높고, 위생 상태도 나쁘다 보니까 이런 결과가 나오는 거다. 중국에서는 지난 2013년에 50만 명이 미세먼지 때문에 죽은 것으로 집계됐다. 엄청난 인구가 미세먼지에 의해 희생되고 있고, 특히 심혈관계질환은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문제는 미세먼지가 우리 몸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나라는 대개 선진국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연구를 충분히 할 수 없었다. 수치가 높은 나라는 미세먼지 말고도 당장 먹고사는 문제에 급급한 경우가 많거나, 혹은 미세먼지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곳들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여서 미세먼지와 건강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다. 그런데도 미세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