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심 속 숲에 사는 곰팡이가 다양할수록 인근 주민의 천식이나 알레르기 염증 반응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소아청소년과 이주성·유 영 교수와 알레르기 면역연구소 윤원석 교수 연구팀은 2020년 1월∼2021년 5월 서울 22개 도시 숲(도심공원)과 4개 지하철역 인근에서 공기 시료를 채취해 곰팡이 군집을 분석했다.
그 결과 도시 숲에서 채취한 공기 중 곰팡이의 다양성이 도심 중심부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숲이 119개인 서대문구는 인구 1천명당 16.7명이 천식 진료를 받았지만, 숲이 155개인 강남구에서는 7.1명이 진료받아 공원 분포도가 높은 지역의 천식 관련 의료 이용량이 적은 양상이었다.
세포 및 동물실험에서도 도시 숲 곰팡이가 알레르기 염증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숲에서 발견된 알레르기 유발 곰팡이 알터나리아(Alternaria) 등을 면역세포와 천식 동물모델에 노출한 결과 도심지 곰팡이에 노출됐을 때보다 염증 단백질 분비가 약 15% 줄었다.
또, 도시 숲 유래 균주의 기도 염증과 점액 분비는 도심 균주 대비 약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도심 '숲'에서 온 곰팡이인지 혹은 그냥 도심에서 온 곰팡이인지에 따라 우리 몸의 면역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윤원석 교수는 "도심 숲이 단순한 녹지를 넘어 면역 조절과 염증을 줄이는 '공기 백신' 역할을 하고 있고 주민의 호흡기 건강과 연관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며 "도시계획과 보건정책에서 녹지의 미생물 다양성 보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환경부 지원을 받아 이뤄진 이번 연구 결과는 천식·알레르기 분야 국제학술지 AAIR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