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암 치료제 '젬퍼리주'(성분명 도스탈리맙)가 건강보험 적용을 위한 관문을 통과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4일 '2023 제8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심의 결과 젬퍼리주의 급여 적정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젬퍼리주는 앞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약가 협상,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건보를 적용받게 된다. 건보가 적용되면 환자들의 약값 부담도 크게 경감된다. 위원회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젬퍼리주(도스탈리맙), 한국오노약품공업주식회사의 비라토비캡슐 75밀리그램(성분명 엔코라페닙)에 대해서도 급여 적정성을 인정했다. 젬퍼리주는 재발성 또는 진행성 불일치 복구결함(dMMR)이나 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MSI-H) 자궁내막암 치료에 사용된다. 비라토비캡슐은 BRAF V600E 변이가 확인된 전이성 직결장암 치료에 사용된다. 항아쿠아포린-4(AQP4) 항체 양성인 성인 시신경척수염 범주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한국로슈의 엔스프링 프리필드시린지주(사트랄리주맙)도 급여 적정성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중등도에서 중증의 활동성 궤양성 대장염 치료에 사용하는 한국비엠에스제약의 제포시아캡슐 0.92밀리그램과 제포시아캡슐스타터팩0.23밀리그램·0.46밀리그램
고가의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오뉴렉'이 이달부터 건강보험 적용을 받게 됨에 따라 환자들은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오뉴렉이 건보 적용을 받게 되면서 연간 1인당 투약 비용이 종전 약 1억8천200만원(비급여)에서 본인부담금 911만원 수준으로 줄었다. 혈액질환 환자 단체인 한국백혈병환우회는 "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을 받을 수 없는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는 효과와 삶의 질을 개선했다는 점에서 오뉴렉의 건강보험 등재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환우회에 따르면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 중 고위험군이나 중간위험군 환자는 재발률을 줄이기 위해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아야 하지만, 이식이 적합하지 않은 환자들이 매년 90명가량 발생했다. 이러한 환자들의 유지치료를 위한 약인 오뉴렉은 대체 약제가 없는 생명과 직결된 신약이어서, 그동안 28일치 기준 비급여 약값 약 1천660만원을 부담해야 했다고 환우회는 설명했다. 이들은 "20년 전 표적치료제 '글리벡'의 건보 등재가 환자 생명 연장과 삶의 질 개선에 크게 기여했던 것처럼 이번 오뉴렉 또한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암 환자에게 처방·투여
호수와 연못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한해살이 물풀 '마름'에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VHS) 감염을 막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마름에는 항염증·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열매는 강장제로 활용되기도 한다.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마름 추출물에 VHS 감염과 증식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온대 민물고기 '팻헤드 미노우' 세포주를 마름 추출물로 처리한 결과 VHS 감염·증식이 77.4%, 열대 민물고기 '제브라피시' 치어는 84.8% 감소했다. 연구진은 지난달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으며, 바이러스 감염과 증식을 억제하는 유효물질을 밝히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VHS는 세계동물보건기구(WOAH)가 관리하는 전염병으로 체색 흑화, 복부팽만, 탈장, 아가미 퇴색 등을 유발한다. 치어의 경우 100% 집단 폐사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2001년부터 꾸준히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최근 10년(2013∼2022년) 동안은 40건 발생했으며 이 중 39건은 광어(넙치), 1건은 참돔에게서 발병했다.
감기 환자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7일 공개한 '2022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의료기관이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해 항생제를 처방한 비율은 32.36%로 조사됐다. 전년도보다 2.78%포인트 줄었고 2002년의 73.33%과 비교하면 20년간 40.97%포인트 뚝 떨어졌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항생제 처방률이 4.79%로 낮았고, 병원 (37.67%)과 의원(32.10%)은 비교적 높았다. 감소폭은 병원이 컸다. 연령별로 보면 영유아(41.31%) 환자에 대해선 여전히 항생제 처방률이 40% 이상이었다.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의 경우 항생제 처방률이 54.06%였다. 이는 2016년(60.80%) 대비 6.74%포인트 줄어든 것이라고 심평원은 설명했다.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중 3번째(2019년 기준)에 해당할 정도로 높은 편이어서, 정부는 항생제 내성을 관리하기 위해 항생제 소비량을 2025년까지 2
한 번 맞으면 혈압 강하 효과가 최장 6개월 지속하는 고혈압 치료 주사제가 개발됐다. 미국의 앨나일람 제약회사(Alnylam Pharmaceuticals)가 개발한 질레베시란(zilebesiran)이라는 이 고혈압 주사제는 2상 임상시험에서 혈압 강하 효과가 최장 6개월 지속돼 1년에 두 번 주사로 혈압 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질레베시란은 혈관을 수축하는 호르몬인 안지오텐신을 만드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혈관이 수축하면 혈압이 올라간다. 2상 임상시험은 미국 하버드 대학 브리검 여성병원 심근병증/심부전 실장 아크사이 데자이 박사 연구팀이 고혈압 환자 10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임상시험 참가자들에게 용량을 달리한 질레베시란 또는 가짜 주사제를 투여하고 있다. 또 이와 별도로 질레베시란 800mg 주사와 함께 저염식 또는 고염식을 병행하는 시험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24주가 지난 현재 질레베시란 주사제는 높은 용량을 투여할수록 혈압 강하 효과가 크고 최장 6개월 효과가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질레베시란 주사와 함께 저염식을 하거나 또 다른 혈압약을 함께 복용할 때 효과가 더 크다는 사실도
바이오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책이 잇달아 나오는 가운데 정작 의약품 개발·생산에 필수적인 연구센터와 냉동창고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업계 지적이 나온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를 열어 국가전략기술의 지정 범위를 현재 지정된 백신뿐 아니라 바이오 의약품 전체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바이오 의약품 기업에 대한 투자세액 공제는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 지원책에도 업계는 제약·바이오 기업에 필수적인 실험실, 냉동창고 등 건축물에 대한 맞춤 지원책은 여전히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업계와 달리 바이오 기업은 의약품 개발·생산 과정에서 특수한 시설이 필요해 투자 규모가 크고 건축물 자체가 사업화에 필수적인데도 현행법상 건축물은 공제 범위에서 제외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최근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는 인천 송도에 글로벌 연구·공정개발(R&PD)센터를 세우는 데 약 3천200억원이, 대웅제약[069620]은 최근 경기 화성에 짓는 새 공장에 1천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보다 기업 규모가 작은 유바이오로직스나 프레스
미국 에스페리온 세라퓨틱스(Esperion Therapeutics)가 새로 개발한 고지혈증 신약 벰페도산(bempedoic acid)이 현재 널리 처방되고 있는 스타틴(-stain) 계열의 고지혈증약이 아니면서 스타틴과 맞먹는 효과가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심혈관 의학과의 마이클 린코프 교수 연구팀은 벰페도산(제품명 넥스레톨)이 적정 용량의 스타틴에 민감한 스타틴 불내성(statin-intolerant) 환자나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더 떨어뜨릴 필요가 있는 고지혈증 환자들에게 스타틴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최근 보도했다. 스타틴은 복용자에 따라 근육통, 관절통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스타틴 과민증이 있는 스타틴 불내성 환자 1만3천97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CLEAR Outcomes Trial) 자료를 새로이 분석한 결과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임상시험에서는 벰페도산이 LDL 콜레스테롤의 혈중 수치를 21% 낮추는 동시에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을 13% 감소하는 효과가
최근 미국식품의약국(FDA)이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매 신약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를 정식 승인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이뤄질 전망이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에자이는 지난달 레켐비의 품목 허가 신청서를 식약처에 제출했다.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환자 뇌에서 비정상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의 끈적한 침전물을 제거하도록 설계된 항체로 2주에 한 번 정맥 주사로 투여한다. 그러자 국내 기업들도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세포치료제 개발 기업 엔케이맥스[182400] 오는 16∼20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미국 알츠하이머협회 국제콘퍼런스(AAIC 2023)에서 정맥 투여 방식의 세포치료제 'SNK01'의 알츠하이머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엔케이맥스 관계자는 "레켐비가 알츠하이머 증상을 지연시키는 약물인 반면 SNK01은 뇌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켜 알츠하이머 증상을 개선한다"며 "알츠하이머뿐만 아니라 4기 비소세포폐암, TKI 불응성 비소세포폐암 등 고형암 치료를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미국 식품의약청(FDA)이 최초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로 정식 승인한 레켐비의 뒤를 이을 신약 후보는 어떤 약일까. 현재 마지막 단계의 임상시험을 거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실험 신약은 일라이 릴리 제약의 도나네맙, 바이오비 제약의 NE3107, AB 사이언스의 마시티닙 등 3가지라고 로이터 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도나네맙은 초기 치매 치료제이고, NE3107과 마시티닙은 경증 내지 중등도(moderate) 치매 치료제로 모두 3상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이밖에 바이오젠 등 7개 제약회사가 개발한 치매 실험 신약이 초기 또는 중간 단계의 임상시험을 거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이 7가지 실험 신약은 다음과 같다. ▲ 분타네탑 = 아노비스 바이오. 중등도 치매 치료제. 2∼3상 임상 진행 중. ▲ CT1812 = 코그니션 세러퓨틱스. 경증 내지 중등도 치매 치료제. 2상 임상 진행 중. ▲ COYA 301 = 코야 세러퓨틱스. 경증 내지 중등도 치매 치료제. 2상 임상 진행 중. ▲ 사나멤 = 액티노젠 메디컬. 경증 내지 중등도 치매 치료제. 2상 임상 진행 중. ▲ ACI-24.060 = AC 임뮨. 초기 치매 치료제. 1∼2상 임상 진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