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드래곤시티 “딸기 스튜디오에서 딸기 디저트 뷔페와 셀피를 즐기세요”

‘메가 바이트’, ‘딸기 스튜디오’ 선보여… 20여종 이색 딸기 디저트와 스트로베리 칵테일 제공
사진인화 앱 ‘그랩픽’과 컬래버레이션으로 사진 촬영·배송 서비스

(미디어온) 신개념 라이프스타일 호텔플렉스 서울드래곤시티가 당일 수확한 신선한 국내산 딸기로 만든 ‘디저트 뷔페’를 즐기며 카메라 어플인 ‘그랩픽’으로 사진을 찍으면 인화된 사진을 집까지 배송 하는 ‘딸기 스튜디오’를 진행한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제철딸기와 디저트를 무한정 맛볼 수 있는 딸기 스튜디오는 서울드래곤시티 노보텔 1층에 위치한 ‘메가 바이트’에서 즐길 수 있다. 메가 바이트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스낵과 음료를 즐길 수 있는 로비라운지로 이번 딸기 스튜디오가 스트로베리 프랑지팬, 스트로베리 카눌레, 딸기 마카롱, 베리 티라미수, 딸기 프로마쥬 블랑 파나코타 등 신선하고 당도 높은 생딸기를 듬뿍 넣은 이색 디저트 20여종을 선보이며 웰컴드링크로 딸기 에이드 혹은 딸기 라떼 중 1잔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딸기 스튜디오는 충남 논산에서 당일 아침 수확한 품질 좋고 당도가 뛰어난 딸기를 사용하며 고객 주문 시 셰프가 즉석에서 딸기 모찌와 호떡을 만드는 ‘라이브 스테이션’도 선보인다. 추가 금액을 지불하면 디저트에 곁들일 수 있는 딸기가 가미된 와인·맥주·시그니처 스트로베리 칵테일이 함께 제공된다

한편 딸기 스튜디오라는 이름에 걸맞게 필름감성의 모바일 카메라 겸 사진인화 앱인 ‘그랩픽’과의 특별한 컬래버레이션도 진행한다. 어플을 다운받아 쿠폰번호를 입력한 뒤 메가 바이트 내 딸기 스튜디오에서 사진을 촬영하면 인화된 사진 12장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이벤트이다.

딸기 스튜디오는 지난 2월 14부터 4월 14까지 매주 주말 오후 12시 30분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된다. 가격은 성인 1인 기준 4만5000원, 어린이 1인 기준 3만1000원이다.

서울드래곤시티는 최상품의 딸기로 선보이는 딸기 스튜디오에서 서울드래곤시티에서만 만날 수 있는 그랩픽과의 사진 촬영 이벤트로 화사하고 싱그러운 딸기 디저트를 배경으로 한 인생 셀피와 로맨틱한 추억을 만들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딸기 스튜디오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드래곤시티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