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앤에스파워, 커네틱 TWS 블루투스 이어폰 ‘Free B’ 출시

최신 블루투스 5.0으로 뛰어난 연결 성능 및 전력 효율성 제공
복원력이 우수한 친환경 TPE소재 사용

(미디어온) 모바일 액세서리 제조 및 유통 전문 기업 씨앤에스파워는 자사 브랜드 커네틱을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 ‘Free B’를 출시한다고 지난 6일 밝혔다.

씨앤에스파워는 지난 2003년 설립되어 컴퓨터 주변기기와 모바일 액세서리 제조 및 유통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주요 브랜드는 라이프스타일 모바일 액세서리 커네틱, 에너자이저 보조배터리, 아이러브 모바일 액세서리로 블루투스 헤드셋, 고속 충전 케이블, 고속 무선 보조배터리,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등 다양한 제품군을 다루고 있다.

이번에 출시하는 커네틱 블루투스 이어폰 Free B는 최신 블루투스 5.0 지원으로 최대 10m까지 무선 신호가 도달하여 압도적인 무선 신호 송수신율을 자랑한다. Free B는 A2DP 프로필의 표준으로써 사용되는 SBC 코덱과 8mm 고성능 드라이버가 탑재되어 넓은 수신 반경과 더불어 높은 수준의 음질을 감상할 수 있다.

이번 제품은 IPX4의 생활 방수 등급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으로 땀으로 인한 이물질이나 비와 눈이 오는 날 등 다양한 환경에서 부담없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4g의 초경량 무게와 25.6 x 15.4 x 14.4에 달하는 초소형 사이즈의 콤팩트한 설계로 뛰어난 휴대성을 자랑하며 직관적인 한국 음성 멘트로 편리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최상의 편의성을 위해 고안된 만큼 충천케이스와 함께 이용 시 최대 16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디자인은 블랙 색상의 타원형 이어폰과 인조 가죽으로 마감처리 된 사각 충전 크래들을 채택하여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충천 크래들은 내부가 마그네틱으로 되어 있어 이어폰을 안전하게 탈부착하여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닛의 이탈 현상을 최소화했다. 또한 내부의 4단계 LED표시등은 배터리의 잔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Free B는 충천 크래들에서 이어폰을 꺼내는 순간 바로 전원과 페어링 모드까지 자동으로 전환된다. 또한 이어폰을 개별로 각기 다른 스마트 기기에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멀티 페어링, 듀얼 및 싱글 모드를 통하여 최대 4개의 스마트 기기와 동시 연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든 기능을 원버튼으로 제어 하도록 고안되어 기본적인 미디어 핸들링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 통화까지 조작 가능하다.

이번 Free B 출시를 기념하여 출시일로부터 2주간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커네틱 마그네틱 온오프 블루투스 이어폰 CBT-01을 증정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씨앤에스파워 조용각 대표는 “커네틱 TWS 블루투스 이어폰 ‘Free B’는 높은 수준의 성능을 지니면서 합리적인 가격대를 제시하는 제품”이라며 “앞으로 자체 기술력을 통한 다양한 신제품으로 찾아뵙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