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코스메틱, 스마트팜 활용해 화장품 원료 소재 개발

카카오와 손잡고 ‘동반성장 연구지원사업’ 수행… 특허 2건 출원
JDC, 혁신성장 선도사업 지원을 위해 사업비 1억원 지원

(미디어온) 글로벌 화장품 전문기업 ㈜아미코스메틱이 스마트팜을 활용한 화장품 원료 소재 개발에 나선다.

아미코스메틱은 카카오와 손잡고 스마트팜 플랫폼을 활용한 동반성장 연구사업을 수행한 결과 특허 2건을 출원하는 등 성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스마트팜 플랫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을 목표로 진행된 이번 동반성장 연구지원사업은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관리기관인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지원을 통해 1년간 진행되었으며 세개 기관은 지난해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 BT입주기업의 원료작물재배 연구지원사업의 구체화 및 성과 공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바 있다.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생물 자원의 생육 환경을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외부 환경과의 공간적 분리를 통한 친환경 기반 제공은 물론 기후 변화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균질한 작물의 생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바이오산업 분야의 활용도가 주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연구사업에는 아쿠아포닉스 방식의 스마트팜 실증연구시설을 활용해 기존 스마트팜 시스템보다 더욱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작물 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이번 연구사업을 통해 주관기관인 아미코스메틱은 스마트팜 플랫폼을 통해 재배한 바이오 작물을 활용한 효능 평가 및 원료 시제품 개발을 진행하는 한편, 이를 기반으로 특허출원을 2건 진행하는 등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 입주기업 간 동반성장 상생 사례를 만들었다. 카카오와 농업법인 만나CEA는 스마트팜 플랫폼 실증 연구를 통해 축적된 재배 데이터 등을 아미코스메틱에 제공, 화장품 원료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는 등 스마트팜을 통한 화장품 원료 작물 재배에 대한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아미코스메틱 연구개발팀은 카카오와 손잡고 스마트팜에서 실증 연구 재배한 작물을 화장품 원료 소재로 개발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어 기쁘다며 이를 계기로 아미코스메틱이 바이오 신소재 개발을 주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2020년까지 아시아 TOP10 진입할 수 있도록 연구에 매진할 것이라며 연구지원사업 수행 소감을 밝혔다.

아미코스메틱은 기업 소유 R&D 센터를 통해 자체적으로 다양한 특허 성분 개발과 글로벌 특허 인증을 진행하고 있으며 서울국제발명대전, 대한민국 발명대전 수상을 통해 보유특허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한편 아미코스메틱은 중국위생허가 323건, 유럽화장품 199건, 독일더마테스트 등급 획득 177건, 싱가포르 인증 22건, 베트남 인증 24건, 인도네시아 인증 41건, 말레이시아 인증 15건, 국제화장품원료집 81건, 특허 출원/등록/수상 178건, 상표 및 디자인 등록/수상 686건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중국 현지 법인 운영 및 중국 3500개 왓슨스, 프랑스 마리오노, 모노프릭스, 스페인 엘코르떼잉글레스, 독일 데엠, 스웨덴 아포테크, 더글라스, 미국 얼타, 벨크, 로스, 메이시, 얼반아웃피터즈, 폴란드, 영국, 아일랜드, 러시아, 스위스 등 국내외 1만 1천여개 이상의 뷰티 리테일 매장에 진입하는 등 전 세계 17개국 글로벌 유통 체인을 통해 공격적으로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으며 주력 브랜드로는 BRTC, CLIV, PureHeal's, EssenHerb, Jeju:en 등이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고령화 대비 건보료율 상한 높이는 안 검토…5년간은 괜찮지만
정부가 고령화에 대비해 건강보험료율의 법적 상한인 8%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한다. 향후 5년간은 건강보험 재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겠지만, 고령화 등으로 의료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하는 것이다. 의료비 상승의 주범으로 꼽히는 비급여 의료 행위에 '메스'를 들이대 급여와 비급여가 뒤섞인 혼합진료를 금지하고, 효과성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게 퇴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제2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2024∼2028)을 발표했다. ◇ 적정 수준 건보료율 논의…국고 지원 법률도 개정 정부는 급격한 고령화로 의료비가 급증함에 따라 보험 재정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건강보험료율 상향 조정과 관련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건강보험료는 법에 따라 월급 또는 소득의 8%까지 부과할 수 있게끔 묶여있는데, 지난해 건강보험료율(7.09%)이 7%를 돌파하면서 상한에 가까워졌다. 올해 건강보험료율은 동결됐다. 배경에는 저출생과 총인구 감소, 저성장 기조 때문에 보험료 수입이 정체돼 재정의 지속성에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 있다. 정부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해 적정한 수준의 보험료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