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모아, ‘레알쏙쏙 필링패드’ 봄시즌 출시

핑크빛 진달래가 가장 아름답게 만개한 순간을 얼굴에도 피게하고픈 얼굴각질 제거 레알쏙쏙 필링패드

(미디어온) 주식회사 하나모아가 봄의 상징인 진달래의 핑크빛으로 수놓은 화사한 디자인의 ‘레알쏙쏙 필링패드’를 출시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레알쏙쏙은 봄을 맞아 ‘진달래’를 테마로 한 핑크빛 에디션을 출시하며 봄의 설렘을 제품에 담고 있다. 올해 에디션은 진달래가 가장 아름답게 만개해 금방이라도 물들 것 같은 순간을 디자인에 적용한 제품이다.

얼굴 각질제거, 묵은 각질과 딥 클렌징 전문제품으로 메이크업 클렌징, 모공피지 제거, 노폐물 제거, 피부보습으로 화사한 핑크빛 얼굴을 꿈꾸는 여성에게 많은 사랑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레알쏙쏙 제품은 극세사의 초미세돌기 가공기술로 부드럽고 깨끗한 필링 효과와 핀란드산 자작나무와 자일리톨 성분의 편안한 피부 진정케어, AHA, BHA, 고마주의 딥 클렌징과 각질케어, 비타민E 성분의 보습막 형성 및 수분손실을 예방하여 부드럽고, 화사한 피부를 연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자극'을 주지 않는 ‘초극세사 필링시트’는 연약한 피부를 위해서 일반 극세사에 비해 200배 이상 가늘게 가공하여 초미세 섬유 촉수가 부드럽고 더욱 촘촘하게 닦아주는 클렌징 시트이다.

16가닥의 촘촘한 극세사 촉수들이 일반패드로 닦이지 않는 미세한 피부의 틈, 결, 모공 등 구석진 피부 속 노폐물까지 꼼꼼하게 제거해준다.

천해자연 북유럽 자연성분의 촉촉한 ‘힐링컴플렉스’는 묵은 각질과 각종 피지, 노폐물로 뒤덮힌 얼굴을 깨끗하게 필링 후, 천연성분으로 촉촉하게 보습해준다. 원산지 핀란드의 자일리톨, 자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친화 자연성분으로 보습과 진정, 미용효과를 높여준다.

또한 레알쏙쏙 필링패드는 수용성 각질제거 성분 AHA, 지용성 각질제거 성분 BHA가 피부에 쌓인 노폐물과 각질을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제거해주어 피부를 진달래의 핑크색상과 같이 매끈하게 정리해준다. 비타민 E 성분, 히아루론산, 자연허브 컴플렉스로 보습막 형성 및 수분 손실예방으로 각질 제거 후 피부의 건조함을 예방해준다.

레알쏙쏙 필링패드는 봄철을 맞이하여 봄 시즌을 기다리게 하는 특별한 이벤트로 자리 잡았으며 화사한 봄 메이크업을 연출해주는 제품에 봄을 물씬 느낄 수 있는 디자인을 입혀 봄맞이 아이템으로 추천한다고 밝혔다.

한편 ‘레알쏙쏙 필링패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바로 만나볼 수 있으며, 앞으로 전국 오프라인 매장, 대형마트 등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