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평택항 항만배후단지 인근인 평택시 포승읍 신영리 일대에서 173억원을 투입해 2026년 말까지 '평택 연안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연안정비사업은 항만배후단지 인근의 소외된 지역을 정비하고, 갯벌의 자연 기능을 복원하는 친환경 사업이다. 평택 연안정비사업은 2020년 해양수산부의 제3차 연안정비기본계획에 반영됐으며 최근 실시계획이 고시되면서 본격적인 공사가 가능해졌다. 사업 지역은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권관항 6.5㎞ 구간에 면적 5만3천650㎡ 규모로, 자전거공원과 생태관찰체험장 등 친수공간 및 해안 산책로 등이 조성된다. 평택호 관광단지, 권관항, 국민여가캠핑장 등과 연계돼 휴식과 레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정식 농수산생명과학국장은 "이번 사업은 평택 해안 지역을 새로운 관광·레저 중심지로 도약시키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경기도는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림청 산하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은 최근 5년 이내 녹색 인프라 사업 시행자를 대상으로 한 '2024 녹색 인프라 활용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제주 서귀포 치유의숲 무장애 나눔길 등 6개 사업을 우수사례로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복권기금으로 조성된 녹색 인프라 우수사례 발굴을 통해 사업의 공익적 가치를 국민에게 널리 알리려고 마련된 이번 공모전에는 24개 사업 시행자(지방자치단체)가 응모했다. 우수사례는 ▲ 서귀포 치유의숲 무장애 나눔길 ▲ 금산산림문화타운 무장애 나눔길 ▲ 강원 백두대간 산림생태문화체험단지 무장애 나눔길 ▲ 인천시 남동구 만수산 무장애 나눔길 ▲ 전남 장흥군 장흥통합의료원 복지시설 나눔숲 ▲ 대구시 달서구 예수마을 노인요양원 복지시설 나눔숲이다. 특히 서귀포 치유의숲은 무장애 나눔 길을 활용한 항노화·숲태교 등 산림복지 프로그램과 웰니스 숲힐링 축제, 암 생존자 숲길 걷기 행사 등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산림문화 콘텐츠를 선보여 1위를 차지했다. 산림복지진흥원은 전국의 녹색 인프라 조성 대상지 활용 사례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더 많은 국민에게 숲 체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남태헌 원장은 "복권기금으로 조성한 녹색 인프라 우수사례를 적극적으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의 명곡 '올드 앤 와이즈'(Old and Wise)는 나이가 들면 현명해진다는 이야기를 담은 노래다. 현명함의 요체는 '내가 통제할 수 없는 것을 잊는 것'이다. 남들이 자신을 향해 쓰디쓴 말을 내뱉어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 '지고의 경지'를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는 노래했다. 109세 찰리 할아버지도 비슷한 가르침을 내린다. 막내딸 매들린이 동네 구설에 휘말린 사례를 이야기하며 분기탱천했을 때, 찰리는 이렇게 충고했다. "잊어버려라. 열 올리면 너만 힘들어진다. 나는 그런 사람들한테 쓸 시간이 없단다." 찰리의 말은 스토아학파의 가르침을 떠올리게 한다. "삶을 잘 살기 위해서는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 그리고 그보다 더 어려운 통제할 수 없는 모든 것을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오래된 가르침 말이다. 미국 언론인 데이비드 본 드렐리가 쓴 '내가 109세 찰리에게 배운 것들'은 109세까지 살며 천수를 누린 미국 의사 찰리 화이트(1905~2014)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다. 저자는 102세 때 찰리를 만나 7년간 교분을 쌓으며 그와 나눈 대화 속에서 길어 올린 삶의 지혜를 책에 담았다. 찰리는 1905년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