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딩크 전 감독 한국서 정밀검진…"무릎 건강에 이상 없다"

병원서 MRI·근력검사 결과…"테니스 즐길 정도의 관절 건강 유지"

  거스 히딩크(73) 전 한국 축구대표팀 감독의 무릎 관절 건강에 이상이 없다는 국내 의료진의 진단이 나왔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거스 히딩크 전 감독은 15일 서울의 한 정형외과병원을 찾아 과거 관절염 치료를 받았던 오른쪽 무릎 건강 전반에 대한 정밀검사를 받았다.

히딩크 전 감독은 2001년 2월 태극전사를 이끌 당시 수술받았던 오른쪽 무릎의 관절염 증세 때문에 고생해오다 2014년 방한해 국내 의료진으로부터 무릎 퇴행성관절염 세포치료제인 '카티스템' 치료를 받은 바 있다. 그는 이후 무릎 건강이 호전되면서 한국 의료에 대한 각별한 애정과 고마움을 표하기도 했다.

그의 무릎 건강 문제는 그동안 논란이 없다가 중국 올림픽 대표팀 감독이 바뀌는 과정에서 다시 불거졌다. 중국의 한 언론은 "히딩크 감독이 몇 년 전 한국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최근 같은 부위를 다쳐 재발한 상태"라고 쓰기도 했다.

히딩크 전 감독은 "이틀 전에도 테니스를 쳤을 정도로 무릎 수술을 받은 이후 관절 건강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다"면서 "그런 사실을 확인하고 정기 검진을 받기 위해 한국의 병원을 다시 찾았다"고 말했다.

유튜브로 보기

의료진 역시 히딩크 전 감독의 무릎 건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진단했다.

히딩크 전 감독을 진료한 강남제이에스병원 송준섭 원장은 "관절염이 재발한 것으로 지목된 오른쪽 무릎 부위를 MRI(자기공명영상) 등으로 살펴보고, 근력검사 등을 한 결과 치료 후 재생된 연골은 아무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앞으로 특별한 부상만 없다면 수년간은 테니스를 즐길 정도의 관절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