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베트남 화장품시장 진출 속도 낸다

보건복지부·진흥원, 베트남 빈커머스와 연 100억 원 규모 협약 체결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 이하 진흥원)은 베트남 최대 규모 기업인 Vin Group 산하의 VinCommerce*와 10월 12일(토)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 화장품 유통망 개척 공동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현지 온⋅오프라인 유통채널(편의점, 슈퍼마켓,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사업부문을 맡고 있는 Vin Group의 자회사 (연 매출 약 1조500억 원)

 

** (협약 일시 및 장소) ’19.10.12.(토) 13:00(현지시각 11:00) / 하노이 Vin Group 본사

 

○ 정부는 국내 중소⋅중견 화장품 기업의 체계적인 수출 지원과 시장 다변화를 위해 진흥원(코너스톤마케팅그룹 위탁 운영)을 통해 「해외 화장품 판매장 개척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특히, 신남방 국가에서의 K-뷰티 인기에 힘입어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에서 한국 화장품 홍보․판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 이번 계약은 2020년 1월까지 베트남 호치민 및 남부 지역 내에서 약국, 슈퍼마켓, 개인 소매점 등 1만 2,000여 개 이상의 전통 유통채널(General Trade)을 확보하고, VinCommerce가 보유한 유통 협력업체, 전문 영업사원을 활용하여 한국 화장품 진열 및 위탁 판매를 진행한다.

 

○ 베트남 판매장은 올해 ㈜피엔비의 시크리스 마스크팩을 시작으로 2020년에는 5개 브랜드를 선정하여 베트남 전 지역으로 화장품 유통을 확대할 계획이다.

 

○ 이번 VinCommerce와 공동협력을 통한 2020년 5개 브랜드의 목표 매출액은 총 100억원 수준이다.

 

□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VinCommerce와의 유통망 개척 공동협력 계약을 통해 한국 중소 화장품 기업 제품(브랜드)이 베트남 시장에 안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아울러 ”앞으로도 신남방 국가에서 K-뷰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 문의 : 진흥원 뷰티화장품산업팀 김글샘 연구원 ☎ (043)713-8756

※ 참고 : 해외 화장품 판매장 개척 지원 사업 개요

참고

 

해외 화장품판매장 개척 지원 사업 개요

□ 해외 화장품 홍보·판매장 운영

 

○ (개요) 화장품 수출국 다변화를 위해 유망국가 발굴 및 중소 화장품기업 대상 원스톱 해외 진출 프로세스 및 마케팅 지원을 위한 판매장 운영(’19년 베트남‧태국‧싱가포르)

 

○ (사업내용) 현지유통망 구축 및 바이어 발굴‧매칭, 인허가 등록 및 라벨링, 온‧오프라인 홍보‧마케팅, 신규진출‧유통망 입점 지원 등

 

* (지원현황) 2억 원x3개=6억 원 지원, 정부지원금의 50% 이상 기업 자부담 매칭

 

○ (그간성과) ‘18년까지 수출계약체결 691.8만 달러, 바이어 매칭 573건, 현지 온ㆍ오프라인 홍보 530회 이상 등 수출지원

 

 

 

베트남 판매장

태국 판매장

싱가포르 판매장

□ 해외 화장품 홍보팝업부스 운영

○ (개요) 시장규모 및 신(新) 한류 영향이 큰 유망국가에 화장품 홍보판매장 진출 전 시험장으로써 팝업부스를 설치하여 K-뷰티 인지도 제고 및 신(新) 시장 발굴(’19년 말레이시아‧폴란드‧러시아‧UAE)

 

○ (사업내용) 국내 유망 중소·중견 화장품 기업의 해외 전시·홍보, K-뷰티 홍보·마케팅을 위한 홍보 부스 운영 지원

 

* (지원현황) 4,000만 원x4개=1억6000만 원, 정부지원금의 50% 이상 기업 자부담 매칭

 

○ (그간성과) 평균 방문객 1,900여 명, 현지 언론보도 및 SNS 홍보건수 약 50회, 팝업부스 운영 이후 개별기업 매출 186% 증가 사례 등(’18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운영)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주치의 없는 대한민국
스트레스의 원인은 너무도 다양하다. 신체적 질병 때문일 수도 있지만 현대인은 실제로 신체적 피로보다는 정신적인 피로에 더 많이 시달린다. 소음이나 이웃과의 갈등 같은 주변 환경 요인이 있을 수도 있다. 부모나 자녀와의 불화, 상사로부터의 영업 실적 압박,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가까운 사람의 사소한 말 한마디도 모두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나열하자면 끝도 없다. 중요한 것은 이런 스트레스를 어떻게 잘 다스리느냐는 것이다. 우선 스트레스를 받아들이는 마음가짐, 즉 스트레스 감수성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 사실 스트레스 감수성 자체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성향이나 체질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 듯하다. 사상체질의학에서도 스트레스 감수성에 관해 이야기하는데, 소음인은 스트레스를 심하게 느끼고 태음인은 스트레스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 일반적인 것은 아니지만 동양에서는 혈액형에 따른 차이가 있다는 생각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A형은 스트레스를 아주 심하게 느끼지만, B형은 스트레스를 덜 느낀다는 식이다. 흥미로운 것은 체중과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주장이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지방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 가운데 하나가 사람을 느긋한 성격으로 만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