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 연구팀, 다기능 인공 신경도관 개발…"손상된 신경 재생"

동물실험으로 기술효과 확인…임상 후 실용화되면 척수신경 재생길 열려

 국내 한 의과대학 연구팀이 사고와 재해로 인한 신경 손상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열어줄 '다기능 인공 신경도관' 기술 상용화에 뛰어들었다.

30일 단국대병원에 따르면 현정근(49·재활의학과) 교수팀은 보건복지부 미래융합의료기기 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2014년부터 5년간 다기능 인공 신경도관 기술을 개발했다.

현 교수는 내부가 비어있는 기존의 빈 파이프 모양 인공 신경도관 내부에 절단된 신경의 축삭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라는 미세 및 나노구조를 도입했다.

사람 크기의 무균 돼지실험을 진행, 신경재생기술의 효과를 확인했다.

말초신경 절단과 척수 완전 절단 모델 돼지에 각각 개발된 다기능 인공 신경도관을 이식, 미세채널 내부로 말초신경과 척수신경이 잘 자라는 것을 관찰했다.

이 동물실험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 일자리진흥원의 '공공 연구성과 기술사업화 지원'을 받았다.

그는 2017년 5명의 연구원, 변리사, 정밀기계 제조회사와 함께 '와이어젠'이라는 연구소기업을 설립, 지난 5월 벤처 인증을 받고 기술 완성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현 교수는 "척수 절단 돼지모델의 경우 마비된 뒷다리가 활발하게 움직여 척수손상 환자의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현 교수팀은 사업화에 앞서 단국대 내에 GMP(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 무균생산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생산된 신경도관은 공인기관의 안전성 평가를 받은 후 대학병원의 IRB(임상 연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으면 사람에게 적용되는 임상시험을 시작하게 된다.

임상시험은 1상에 1년 6개월~2년 정도 예상된다.

현 교수는 "대학병원 내 신경외과와 정형외과 의료진과 협력해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사업화에 많은 기간과 비용이 드는 만큼 벤처캐피털, 의료기기·바이오 관련 기업 등의 투자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연 1회' 건강보험 적용 스케일링 "연말까지 꼭 받으세요"
올해 치석 제거 시술인 '스케일링'을 한 번도 받지 않은 만 19세 이상 성인은 12월 31일까지 치과를 방문하는 게 좋겠다. 스케일링 시술은 연 1회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고, 연간 단위이므로 올해를 넘기면 소멸된다. 올해 스케일링을 받지 않았다고 해서 내년에 건보가 2회 적용되는 건 아니다. 대한치과의사협회는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치석 제거가 중요하다며, 올해 들어 스케일링을 받지 않았다면 연말까지 치과를 방문해 시술받으라고 31일 밝혔다. 스케일링은 칫솔이나 치실만으로 제거되지 않은 치석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시술이다. 치석은 잇몸의 염증을 유발해 흔히 '잇몸병'이라고 불리는 치은염과 치주질환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충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치은염은 잇몸을 지칭하는 치은에 생기는 염증이고, 치은염을 방치하면 염증이 잇몸뼈인 치조골 주위까지 진행된 치주염으로 악화한다. 잇몸뼈까지 염증이 번지면 치아를 아예 잃을 위험이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해야 한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무증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서 정기적인 스케일링 등으로 관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성인 10명 중 7명은 건보가 적용되는 스케일링을 받지 않고 있다고 치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