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항로 101년간 불밝힌 주문진등대…'11월의 등대'

한국 근대식 등대의 초기형태…인근에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 있는 '주문진 등대'가 해양수산부가 선정한 '11월 이달의 등대'로 선정됐다.

1일 해수부에 따르면 주문진등대는 1918년 3월 강원도에서 첫 번째로 세워졌다.

1917년 부산항과 원산항 간 연락선이 운항하면서 중간 기항지인 주문진항에 등대가 설치됐다. 등대의 불빛은 15초에 한 번씩 반짝이며 37km 거리의 바다까지 비춘다.

벽돌로 지어진 주문진등대는 한국 근대식 등대의 초기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 가치 또한 높아 등대 문화유산 제12호로 지정·보존되고 있다.

등탑의 기단 부분은 등대 규모보다 높게 축조돼 신전의 계단과 같은 장엄한 느낌을 주고, 주 출입구 부분은 르네상스식 건축양식이 도입돼 장식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등명기(밤에 등대의 불을 밝히는 기기)를 지키기 위해 등대 직원이 등명기를 둘러메고 부산까지 피난 갔다가 전쟁이 끝나고 다시 복구했다는 일화가 있다.

또 전쟁 당시 발생한 총탄 흔적이 등탑에 희미하게 남아 있어 등대에서 세월의 흔적도 엿볼 수 있다.

주문진등대 인근에는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 알려진 영진해변 방사제(해변 침식을 방지하고 바닷가 부근 모래 이동을 방지하는 인공구조물)가 있다. 연인들이 탁 트인 동해를 바라보며 인증사진을 남기는 장소로 유명하다.

해수부는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등대를 선별해 올해부터 매달 '이달의 등대'를 선정해 소개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불치병에서 '약 끊고 건강 유지'…만성백혈병의 반전 드라마
'백혈병'이라고 하면 예나 지금이나 불치병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소설이나 영화에서 봤던 비운의 백혈병 환자 스토리가 각인된 탓이 크다. 하지만 이제 이런 인식은 과거의 이야기다. 백혈병은 우리 몸에서 백혈구·적혈구·혈소판 등의 혈액세포가 만들어지는 골수(뼛속 조직)에 비정상 세포가 지나치게 많이 증식하는 질환을 말한다. 쉽게 말해 핏속에 쓸모없는 백혈구가 너무 많아져서 정상 피가 부족해지고, 면역력도 떨어지는 것이다. 백혈병은 초기에 막지 못하면 결국 암세포가 골수를 가득 채우고 말초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진다. 이때 암의 악화 속도 및 세포의 기원에 따라 급성골수성백혈병(AML),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 만성골수성백혈병(CML),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의 네 가지로 구분한다. 이중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경우 1990년대 말까지만 해도 잦은 입원 치료와 항암 주사 치료,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법 등에도 3∼5년 장기 생존율이 불과 30∼40%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1년 '글리벡(이매티닙)의 등장은 치료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글리벡은 9번 염색체와 22번 염색체의 일부가 서로 자리바꿈한 '필라델피아 염색체'라는 특정 유전자 이상을 정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