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출혈 산모에 국내 첫 '대동맥 내 풍선폐쇄 소생술'...건강 되찾아

단국대병원 산부인과·권역외상센터 교수팀 시술

 국내 한 병원 의료진이 분만 후 대량출혈로 생명이 위험한 산모에게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대동맥 내 풍선폐쇄 소생술(REBOA)'로 건강을 되찾아 줬다.

11일 단국대병원에 따르면 산부인과 김종수·박진완 교수와 권역외상센터 장성욱·장예림 교수는 올해 초 대량출혈로 혈액 140여개의 수혈이 필요했던 고위험 산모에게 REBOA를 적용한 손상통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REBOA는 대량출혈이 발생한 중증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대동맥 내에 풍선을 삽입해 출혈을 임시로 막아 혈압을 상승시키는 응급 의료기술이다.

40대의 산모는 당시 태반이 자궁 입구를 완전히 덮고 있는 전치태반과 태반이 자궁과 붙어 있어 분리되지 않은 천공 태반을 동반한 고위험 상태였다.

조산 위험이 있어 임신 기간에 수차례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며 산전 관리를 해 왔다.

임신 35주(정상 분만은 40주 내외)가 돼 분만 후 태반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많은 출혈이 일어났다.

의료진은 손상통제술로 신속히 REBOA를 시행했다.

다행히 더 이상의 출혈 없이 환자는 분만 후 보름 만에 건강을 회복해 퇴원할 수 있었다.

장성욱(흉부외과) 교수는 "REBOA는 외상에 의한 출혈뿐만 아니라 질병에 의한 출혈 환자, 출혈이 아니더라도 혈압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 논문은 국내 저명한 산부인과 논문인 대한주산의학회지 2019년 9월호에 실렸다.

앞서 지난 6월에는 세계응급의학 국제학술대회에 초청받아 REBOA 시뮬레이션 워크숍을 주관했다.

10월에는 대만외상학회 초청으로 대만을 방문해 REBOA에 대한 의료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결정 과정 세포 수준서 규명…생쥐 전체 뇌 활동지도 완성"
특정 의사결정을 할 때 뇌세포 하나하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생쥐의 전체 뇌 활동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분석 결과 뇌가 정보를 단계적으로 처리한다는 전통적인 위계적 관점과 달리 의사결정이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뇌 여러 영역에 분산돼 동시에 정교하게 조율된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과 유럽의 대학과 연구기관 12곳으로 구성된 국제 뇌 연구소(IBL) 연구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한 2편의 논문에서 생쥐가 의사결정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탐침으로 뉴런 활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전체 뇌 활동 지도를 만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IBL 공동 창립자인 스위스 제네바대 알렉상드르 푸제 교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일 뉴런 활동을 뇌 전체 차원에서 지도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50만개가 넘는 뉴런의 활동을 기록한 이 지도는 생쥐 뇌 279개 영역, 뇌 전체 용적의 95%가 담긴 방대한 규모"라고 말했다. 2017년 공식 출범한 IBL은 여러 연구실에서 동일한 도구와 데이터 처리 과정을 공유하는 새로운 협업 모델을 도입해 데이터 재현성을 확보했다. IBL 12개 연구실은 최신 전극 장치인 '뉴로픽셀 탐침(

메디칼산업

더보기
"우주서 신약 찾는다"…국내 첫 우주의약 실험 모듈 ISS 올라
우주의약 전문기업 스페이스린텍은 자체 개발한 우주의약 연구 모듈 'BEE-PC1'이 지난달 25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해 미세중력 환경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BEE-PC1 모듈은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에서 단백질 결정화 실험을 수행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우주비행사의 개입 없이 독립적으로 실험할 수 있다. 이 모듈은 지난달 24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을 통해 발사됐다. 스페이스린텍은 이번 우주 실험을 통해 지상에서는 확보하기 어려웠던 고정밀 단백질 구조 데이터를 직접 획득해 항암제 및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실험은 약 4개월간 진행되며 수집된 데이터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협력해 차세대 폐암치료제 개발 자료로 쓰일 예정이라고 회사는 밝혔다. 스페이스린텍은 올해 11월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와 이후 5차 발사 등에도 자체 개발한 신약개발 연구위성을 보낼 계획이다. 윤학순 스페이스린텍 대표는 "이번 연구는 대한민국 바이오 연구가 지상에서 우주로 확장되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과학적 성과들이 향후 암, 치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