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표 미착용 반려견 많다'...지도.단속 482건중 50% 240건

 농림축산식품부는 9월 16일부터 지난달 13일까지 지자체·유관기관과 손잡고 반려견 안전관리를 점검한 결과 지도·단속 482건이 이뤄졌다고 12일 밝혔다.

인식표 미착용이 240건으로 가장 많았고, 동물 미등록 150건, 목줄 미착용 73건 등이 뒤따랐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등록 대상 동물을 기르는 곳에서 벗어나게 하는 경우 인식표를 붙여야 하고, 이를 어기면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린다.

또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이외의 장소에서 반려의 목적으로 기르는 3개월령 이상의 개는 지자체에 의무적으로 등록해야 한다. 등록하지 않으면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

또 등록 대상 동물을 동반해 외출할 는 반드시 목줄·가슴줄 또는 이동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하지 않으면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된다.

지역별 지도·단속 건수는 경기가 365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50건이 두 번째를 기록했다. 이어 부산 19건, 전북 13건, 강원 9건 등이었다.

농식품부는 "동물과 사람이 행복한 사회를 만들려면 반려동물 소유자의 의무 준수가 필수적"이라며 "국민 인식 제고를 위해 현장 홍보, 지도, 단속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