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에 올가을 첫 상고대·얼음

 무등산국립공원에 올가을 들어 처음으로 상고대가 피어나고 얼음이 맺혔다.

 14일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에 따르면 이날 새벽 누에봉에서 공군부대가 주둔하는 정상부까지 해발 1천m대 고지대에서 상고대가 관측됐다.

 상고대는 나무나 풀에 눈처럼 내려앉은 서리다.

 잎이 떨어져 나간 나뭇가지와 황금빛으로 무르익은 억새마다 상고대가 내려앉으면서 절경을 연출했다.

 해발 850m 얼음 바위에는 고드름이 맺혔다.

 무등산의 올가을 첫얼음은 지난해보다 이틀 빠르다.

 광주지방기상청은 이날 아침 최저기온이 지리산 성삼재 -5도, 무등산 -4.3도, 곡성 2.7도, 영광 3.2도, 진도 3.3도, 순천 3.4, 장성 3.5도, 광주 4.2까지 내려갔다고 밝혔다.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는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이달 15일부터 내달 15일까지 산불 예방을 위해 탐방로 일부 구간을 통제한다.

소태제∼마집봉갈림길, 풍암주차장∼광일목장,선주암갈림길∼서인봉갈림길, 도원야영장∼마당바위,서석대∼천왕봉∼누에봉, 광일목장∼신선대갈림길 등 6개 구간에서 등산객 통행을 제한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국내 연구진이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를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이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윤미진 교수팀, 신경외과 강석구·장종희 교수 연구팀과 함께 뇌종양 환자의 종양 주변부에 발현하는 반응성 별세포의 대사 매개 물질인 아세트산 항진을 영상화하는 기술을 제안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술로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의 에너지 대사 기전을 밝혀 새로운 뇌종양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뇌 세포의 절반 이상을 구성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는 알츠하이머나 염증 등에 의해 세포 수와 크기가 증가한 반응성 별세포로 활성화한다. 반응성 별세포는 다양한 뇌 병변에서 관찰되며, 뇌종양도 예외는 아니다. 연구진은 악성 종양으로 알려진 교모세포종 환자의 종양 조직 이식 동물모델로 종양 미세환경을 영상화해 분석한 결과, 아세트산이 종양세포보다는 주변에 형성된 종양 미세환경, 특히 반응성 별세포에 의해 대부분 흡수되는 것을 밝혀냈다. 종양세포는 계속 분열하기 위해 기본 에너지원이 되는 포도당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이용해 빠른 에너지 대사 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