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인테리어 시장 급성장…주거환경 바꾼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펫팸족' 1천만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인테리어의 개념도 사람이 생활하기 좋은 공간을 넘어 반려동물과 사람이 함께 생활하기 좋은 곳으로 변하고 있다.

 17일 온라인 쇼핑사이트 G마켓에 따르면 10월 15일∼11월 14일 한 달간 반려동물의 주거환경 관련 용품의 판매량이 지난해 동기보다 크게 증가했다.

 반려동물이 집안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미끄럼방지용 테이프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잘 팔렸다.

 집안 바닥을 아예 반려동물 전용 미끄럼방지 바닥재로 바꾸는 사람들도 늘면서 관련 제품은 3배 이상 판매량이 늘었다.

 반려동물의 대소변에 대비한 방수 소파 커버(150%)와 펫 도어(493%), 공간을 분리해주는 울타리(58%) 등도 잘 나갔다.

 반려묘를 기르는 사람도 늘면서 해먹(145%)과 고양이 침낭·담요(105%), 동굴형 집(79%), 고양이 놀이터 캣폴(207%) 등도 인기를 끌었다.

  최근에는 반려동물이 오갈 수 있는 통로를 내놓은 좌식테이블처럼 반려동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구도 등장했다.

 G마켓 관계자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주거환경도 함께 생활하기에 알맞도록 바꾸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관련 제품의 인기는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