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팡, 반려견 산책 앱 '펫피' 출시...산책 배상책임보험 추진

 반려동물 안전용품 전문 브랜드 디팡은 오는 22∼24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케이펫페어 일산'에서 반려견 산책 앱 '펫피(Pet.P)'를 정식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행사는 국내 최대 펫 산업박람회로, 반려동물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업체가 참가해 사료·간식, 의류·액세서리 등 다양한 애견용품을 선보인다.

 디팡은 이날 '펫피'를 처음 선보일 예정이다. 애완동물(Pet)&사람(People)의 줄임 말로 반려견과 반려인의 동반을 의미하는 이 앱은 반려견 산책을 통해 포인트를 쌓고, 반려 용품 할인 구매, 커뮤니티를 통한 정보교류 등 반려인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털 손해보험사 캐롯손해보험과 제휴를 통해 내년 초부터 펫피 회원에게 산책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에 대비한 산책 배상책임보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캐롯손해보험 관계자는 "회사에서 출시 예정인 펫보험의 방향성과 펫피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방향성이 잘 부합돼 양사의 제휴를 통해 많은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주영 대표는 "산책은 반려견 스트레스 해소와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만병통치약"이라며 "디팡 매트로 반려견 안전사고 방지, 펫피로 반려견 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관리, 디팡멤버스로 전문가의 반려견 보호까지 준비해 왔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앞으로 펫피가 반려인 휴대폰에 꼭 설치해야 할 필수 앱으로 자리 잡을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덧붙였다.

 디팡 부스에서는 펫피와 신제품 펫플레이쿠션 등을 만날 수 있으며, 전시회 기간 펫피 가입자 전원에게 1만포인트와 사은품 등을 제공하는 다양한 행사도 진행될 예정이다.

 펫피 앱은 구글플레이,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디팡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40년 名家 '심장병 사관학교' 세종병원 가보니…"심장만큼은 빅5"
"우리나라 연간 심장이식 수술이 200건 정도 되는데, 그중 두 건이 오늘과 내일 인천세종병원에서 이뤄집니다. 지금 막 심장이식팀이 기증자가 있는 병원에서 심장을 떼고 출발했어요." 지난 17일 찾은 인천세종병원에서 이 병원을 운영하는 혜원의료재단 박진식 이사장(심장내과 전문의)은 고난도 수술을 앞두고 바짝 긴장했다. 의료진은 심장수술이 정점에 위치한 이식수술에 이미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오병희 병원장은 "이식팀이 실시간으로 심장의 위치와 상태를 중계하면 수술팀은 그에 맞춰 환자 가슴을 미리 열어놓고, 3시간 이내에 심장이 도착하자마자 바로 이식한다"고 설명했다. 인천세종병원은 지난해 15건의 심장이식수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재단이 운영하는 부천·인천 세종병원은 2차 종합병원이지만 '심장수술의 명가'답게 심장 분야에서 '빅5' 상급종합병원급 규모와 난도의 진료·수술을 한다. 1982년 개원한 부천세종병원은 301병상 규모의 대한민국 유일 심장전문병원이다. 인천세종병원은 2017년 문을 열었고 307병상을 운영한다. 이들 병원은 심장이 거의 뛰지 않는 환자가 다는 에크모(ECMO·인공심폐장치)와 흉부 절개 없이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타비(TAVI),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