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항호르몬 제제, 여성 탈모에 효과"

 전립선암 치료에 쓰이는 항호르몬 제제인 비칼루타미드(bicalutamide)가 여성형 탈모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라몬 이 카할(Ramon y Cajal) 대학병원 피부과 전문의 페르난데스 니에토 교수 연구팀이 여성형 탈모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의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9일 보도했다.

 비칼루타미드가 투여된 탈모 여성 17명 중 절반 이상에게서 모발이 새로 자라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임상시험 참가자들은 경구용 비칼루타미드를 매일 또는 하루걸러 6개월 이상 복용했다.

 그 결과 몇 주 안에 이들 중 53%가 모발이 다시 자라나기 시작했다. 모발의 밀도가 크게 호전됐다.

 피부과 전문의가 평가하기 전에 우선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비칼루타미드는 전립선암 환자가 썼을 때는 발진, 발한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지만, 탈모 여성들에게서는 이렇다 할 부작용이 없었다.

 비칼루타미드는 전립선암을 촉진하는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이 암세포에 접근하지 못하게 막는다.

 전립선암세포는 남성호르몬을 먹고 자라기 때문에 남성호르몬을 차단하면 종양의 진행이 지연될 뿐 아니라 종양이 축소될 수도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여성형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 in woman)에도 관여한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성호르몬이지만 여성에게도 소량 분비된다. 테스토스테론은 여성의 모낭을 공격, 탈모를 촉진할 수 있다.

 여성이 폐경으로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이 줄면 테스토스테론의 영향력은 더욱 커진다.

그 결과 모낭은 점점 직경이 줄고 길이도 짧아지면서 마침내는 완전히 오그라들어 모발 생산이 멎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성형 탈모 치료제 미녹시딜(minoxidil)은 모든 탈모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피부 발진, 두통 등의 부작용이 있다.

 이 임상시험 결과에 대해 영국 맨체스터대학 피부과 전문의 바브 셰르길 박사는 같은 항테스토스테론제제인 스피로노락톤도 비슷한 효과가 있다면서 보다 많은 탈모 환자을 대상으로 대규모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논평했다.

 이 연구결과는 '피부질환 치료'(Dermatologic Therap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소아청소년 18만명당 소아외과 전문의 1명"…"전국 44명, 극한직업"
"전국에서 실제 환자를 진료하는 소아외과 전문의가 고작 44명입니다. 그런데, 이 중 10명(22.7%)이 2030년에 정년을 맞습니다. 소아외과 전문의가 훨씬 더 줄게 되는 미래가 걱정입니다" 김현영 대한소아외과학회 고시위원장(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외과 교수)은 최근 서울대 어린이병원 지하1층 CJ홀에서 열린 '대한소아청소년외과의사연합 심포지엄'에서 국내 소아외과가 처한 현실을 이같이 토로했다. 소아외과는 신생아부터 청소년기까지 발생하는 외과 질환을 전문으로 진료하는 여러 외과 과목 중 하나다. 소아외과가 꼭 필요한 건 성인과 달리 소아청소년기에는 신체적 변화와 생리적 변화, 발달 상태에 따라 개인별 맞춤 진료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신생아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다양한 선천성 기형과 여러 종류의 양성 종양 및 악성 종양, 소아의 위장관계 및 간담도계에서 발생하는 질병, 골절, 외상 등이 모두 소아외과의 진료 영역이다. 소아청소년과 질환이 광범위한 만큼 소아외과에 연계되는 외과적인 수술 및 시술도 방대하고, 전문성이 더 요구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 분야 전문의들은 한목소리로 국내 소아외과가 '고사 위기'라고 말한다. 이는 소아외과학회가 실시한 '국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 발령…"야간 야외활동 자제해야"
질병관리청은 말라리아 매개모기에서 원충이 확인됨에 따라 7일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매개모기에서 원충이 확인됐다는 것은 이 모기에 물렸을 때 말라리아에 감염될 확률이 높아졌다는 뜻이다. 질병청은 제2차 말라리아 재퇴치 실행계획(2024-2028)에 따라 위험지역에서 매개모기 원충을 조사해왔고, 31주차에 채집된 매개모기에서 원충을 확인했다.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지만, 올해 들어 지난달 27일까지 말라리아 환자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9% 감소한 총 349명이다. 말라리아는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저녁에 야외에서 땀이 난 상태에서 휴식할 때, 매개모기의 산란과 생육이 쉬운 호수공원이나 물웅덩이 인근을 산책할 때 모기에 물려 주로 감염된다.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암컷 얼룩날개모기에 물리면 원충이 간을 거쳐 혈액으로 들어가 적혈구에 침입, 증식함으로써 말라리아에 걸리게 된다. 말라리아의 전형적인 증상은 오한, 두통, 구역, 발한 등이 있다. 말라리아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받아야 한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재발할 수 있으므로 처방에 따라 치료제를 모두 복용해야 한다. 말라리아를 예방하려면 모기가 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