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로젠·분당서울대, 아시아 64개국·219개 민족 유전체 공개

게놈아시아 100K 이니셔티브 연구 성과, '네이처' 표지논문 게재"
민족별 유전체 다양성 존재 확인·약물 반응 차이 규명"

 국내 연구진이 주도하는 국제 컨소시엄이 아시아를 포함한 64개국, 219개 민족(아시아 142개 종족)의 유전체 정보를 공개했다. 아시아인 유전체 데이터로는 최다 지역이다.

그간 서양인 중심이었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DB)가 이번 연구로 아시아인으로 새롭게 구축됐다. 아시아인에 발생하는 질병 원인을 규명하고 맞춤형 진단과 치료 등 정밀의학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크로젠[038290]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공동 연구팀은 아시아인 유전체 분석 연구 성과를 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최신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도 598명, 말레이시아 156명, 한국 152명, 파키스탄 113명, 몽골 100명, 중국 70명, 파푸아뉴기니 70명, 인도네시아 68명, 필리핀 52명, 일본 35명, 러시아 32명 등 총 1천739명의 전장 유전체를 분석해 공개했다.

 마크로젠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공개된 아시아인 유전체 데이터 중에서 가장 많은 아시아 지역과 인종을 포함한다.

 아시아인은 전 세계 인구 77억 명 중 58%에 해당하는 45억 명에 이르지만 공개된 유전체 데이터가 많지 않았다.

 이 때문에 아시아인 대상 맞춤형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로 지역별, 민족별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아사이인의 유전체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아시아에 사는 약 142개 민족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해 주요 약물에 대한 반응이 다르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예컨대 심혈관 질환 환자에 주로 처방되는 '와파린'은 특정 유전 변이를 가진 환자에게는 알레르기 등 약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은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몽골인과 같은 북아시아 조상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와파린에 예민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측했다.

 이처럼 아시아인의 질병, 약물 반응성 등을 파악할 때 유럽인이 아닌 아시아인 유전체 DB[012030]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이번 연구의 성과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은 "아시아인 유전체 정보가 많을수록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과 특정 약물에 대한 반응 여부를 분석해낼 수 있다"며 "앞으로 10만 명 아시아인 유전체 빅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완성해 맞춤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앞장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크로젠은 이번 연구에서 확보한 DB로 인종별 특성을 반영한 소비자 직접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개발해 공급할 계획이다.

 백롱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원장 역시 "아시아인의 질병 예측에 이와 같은 아시아인 빅데이터를 이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컨소시엄인 '게놈아시아 100k 이니셔티브'를 통해 이뤄졌다.

 게놈아시아 100K 이니셔티브는 마크로젠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싱가포르의 난양기술대학교, 인도의 유전체 분석기업 메드지놈, 미국의 제넨테크 등으로 구성된 비영리 국제 컨소시엄이다. 지난 2016년부터 아시아인 10만명에 대한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는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대면 진료, 초진 제한하고 의사에 거부권 줘야"
대한의사협회 산하 의료정책연구원은 비대면 진료를 제도화하는 경우 진료 형태·대상 질환·지역 등을 법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지난 4일 발간한 이슈 브리핑 '환자의 안전과 의료 전문성 확보를 위한 비대면 진료 제도화 선결 조건: 의료의 본질을 지키는 길'에서 "비대면 진료는 안전성을 담보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의료 공백이 커지자 한시적으로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한 바 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취임하면서 "환자의 안전성과 편의성 모두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추진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이미 국회에는 비대면 진료의 근거를 법제화하고 구체적 허용 범위 등을 규정하는 의료법 개정안(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 대표 발의) 등이 발의돼 있다. 연구원은 전 의원이 낸 개정안에 대해 "예외적 초진 허용 대상자 범위가 크게 확대됐고 대상 질환의 제한이 없다"면서 "비대면 진료에서는 초진 환자에 대한 오진 위험성이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 재진 원칙·초진 예외, 주기적 대면 진료 필수 ▲ 화상 원칙·전화 예외 ▲ 만성 질환 대상 ▲ 대면 전환 현실성을 고려한 지역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심혈관계 질환 예방 습관
필자는 오랫동안 혈관 건강의 중요성을 알려왔다. 필자의 주변에도 급작스럽게 추위가 찾아올 때 갑자기 혈관이 수축해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질병에 노출된 사람이 많았던 사실을 기억한다. 이런 질병으로 돌연사를 하는 사람 대다수가 심뇌혈관 질환을 앓고 있었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핏덩어리인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이 막히는 동맥경화증 때문에 발생한다. 동맥이 막히면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해 심장근육이 괴사하는 질병이다. 그렇다면 동맥경화증은 왜 생길까?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이 심혈관계에도 나쁜 영향을 끼치며, 흡연과 운동 부족, 음주 같은 평소 잘못된 생활 습관도 위험 요인이다. 비만인 경우도 문제가 된다. 이런 심혈관질환이 위험한 이유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자기가 환자인지 모르고 일상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급성 심근경색증의 치사율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인데, 자신의 질병을 인지하는 환자는 전체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을 앓고 있다면 자기 몸 상태를 늘 확인해야 한다. 고혈압과 당뇨병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는 보건소도 있으니 방문해 상담받는 것도 합병증을 막는 좋은 예방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