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시간 너무 길거나 짧으면, 폐섬유증 위험 커져"

영국 맨체스터대 연구진, 미 국립과학원회보에 논문

 수면 시간이 너무 길거나 짧으면, 현재 의술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면 시간이 하루 11시간 이상이거나 4시간 이하면 '생체시계(body clock)'를 교란해 이 불치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목할 부분은, 너무 적게 자는 사람보다 너무 많이 자는 사람의 폐섬유증 위험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생체시계를 조작하면 폐섬유증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것도 동물 실험에서 확인됐다. 이는 생체시계가 폐섬유증의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국에서는 한해 약 5천 명이 폐섬유증으로 사망한다고 한다. 이는 백혈병 사망자와 비슷한 수치다.

 영국 맨체스터대 과학자들이 주도한 이번 연구엔 영국의 옥스퍼드대·뉴캐슬대·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캐나다 토론토대 등의 연구진도 참여했다.

 관련 논문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실렸고, 맨체스터대 측은 지난해 12월 30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논문 개요를 공개했다.

 생체시계는, 하루 24시간을 주기로 수면, 호르몬 분비, 신진대사 등을 제어하는 신체 기능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정상이라면 폐의 생체시계는, 코와 폐를 연결하는 기도(airways)에 주로 분포한다.

 그런데 생쥐 실험 결과, 폐섬유증이 있으면 생체시계의 '진동(oscillations)'이 허파꽈리(alveoli)까지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생체시계의 작동 메커니즘을 조작하면 폐 섬유화 과정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도 같은 실험에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어 'UK 바이오뱅크'의 등록자 데이터를 분석해, 과도히 길거나 짧은 수면 시간과 폐섬유증이 연관돼 있다는 걸 밝혀냈다.

 이런 사람들의 폐섬유증 발병 위험은, 수면 시간이 정상(하루 7시간)인 사람의 2배(4시간 이하 수면) 또는 3배(11시간 이상 수면)에 달했다.

 이보다는 덜 하지만, 깊은 밤까지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야간 시프트 근무를 하는 사람도 폐섬유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생체시계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REVERB α' 단백질이 폐섬유증 발병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한다. REVERB α가 폐섬유증을 유발하는 단백질(콜라겐)의 생성에 변화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이런 결과는, 이미 개발된 화합물로 REVERB α 단백질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실제로 연구팀은, 폐섬유증이 생긴 생쥐의 폐 조직에 이런 화합물 중 하나를 투여해 콜라겐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맨체스터대 의대의 존 블레이클리 감염·면역·호흡기 내과 부교수는 "폐섬유증과 수면 지속 시간 사이의 원인과 재현성을 입증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라면서 "이 과정을 거치면 수면 시간을 최적화해 폐섬유증 증상을 완화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