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폐암 5년 생존율 61%→72%"

폐암환자 7천500명 분석 결과…10명중 7명 완치 가능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 10명 가운데 7명은 완치가 가능하다는 국내 의료진의 치료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폐암 수술팀은 2002∼2016년 폐절제술을 받은 폐암 환자 7천500여명의 치료 결과를 5년 단위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 생존율은 72%로 2002∼2006년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 61%보다 크게 향상됐다. 치료가 어려운 폐암의 경우 수술 등 치료 이후 5년 이상 생존할 경우 완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15년간 수술법도 통증이나 감염 위험을 줄이고 폐 기능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향상됐다.

 가슴에 3∼4㎝ 정도의 구멍 두세개만 뚫어 폐를 절제하는 '흉강경 수술' 비율은 2002∼2006년 9.7%에서 2012∼2016년 74.5%로 증가했다. 특히 2016년에는 84.4%를 기록했다.

 흉강경 수술은 절개 범위가 25∼30㎝ 정도인 개흉 수술보다 수술 후 통증이나 감염, 합병증 발생 위험이 낮다.

 폐엽의 일부만 잘라내는 '폐엽 이하 절제술' 비율도 같은 기간 4.3%에서 20%까지 증가했다.

 폐는 여러개의 엽으로 이뤄져 있는데 폐엽 이하 절제술은 암이 생긴 부위를 중심으로 특정 엽의 일부만 잘라내는 최소 절제 수술이다. 암이 생긴 엽 전체를 들어내는 '폐엽 절제술'보다 환자의 폐 기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수술법 발전과 함께 70세 이상의 고령 수술 환자도 2002년 13.3%에서 2016년 25.3%로 증가했다.

 또 폐암 1기 진단 후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비중도 2002∼2006년에는 전체 환자의 40.6%에 불과했지만 2012∼2016년에는 56%까지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런 변화는 기존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보다 방사선 노출량은 5분의 1 정도로 적고 폐암 등 폐 질환 발견율이 최대 10배 정도 높다고 알려진 저선량 흉부 컴퓨터단층촬영(LDCT) 검사가 활성화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최세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서울아산병원이 15년 동안 실시한 폐암 수술 데이터로 폐암 수술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수술 기술이 발전하고 조기에 발견된 폐 선암 환자 비율이 높아지면서 5년 생존율은 오히려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KMS)에 최근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척수손상 장애인 앉은키 8~9㎝ 작아…"휠체어 등 제품 설계 배려 필요"
척추 손상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앉은키가 비장애인보다 8∼9㎝가량 작고, 상체 둘레는 더 크지만 하체 둘레는 더 작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데이터를 장애인을 위한 제품, 공간, 서비스 설계에 활용하고 각종 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 장애인복지관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표원은 지난해 국내의 만 20∼60세 이상 성인 가운데 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 손상 장애인 338명(남자 246명·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인체치수를 조사했다. 29개 항목에 대한 직접측정과 45개 문항에 대한 심층 설문조사를 통해 앉은키, 앉은 눈높이,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 앉은 장딴지 둘레, 몸무게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 척수 손상 장애인의 앉은키는 남성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8.4㎝, 여성의 경우 9.4㎝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앉은 눈높이도 남성과 여성이 각각 7.4㎝, 9.2㎝씩 낮았다. 상체 둘레 항목인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는 남녀가 비장애인보다 각각 10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