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유발하는 고칼로리식도 중독성 있다"

미 버지니아대 연구진,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논문

 중독성이 높은 도파민 호르몬과 뇌의 '생체시계(biological clock)'가 비만에 깊숙이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도파민을 생성하는 뇌의 '쾌락 중추(pleasure center)'와 하루 단위로 생리 리듬을 제어하는 '생체시계(biological clock)'가 상호작용해 고칼로리식 의존도를 높이고 결국 비만이 되게 한다는 것이다.

 섭취 후 만족감을 주는 고칼로리식은 규칙적인 식사 습관을 무너뜨리고, 수시로 고지방 간식을 먹거나 과식하는 습관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게 되면 비만은 물론 비만 관련 질환이 생길 위험도 커진다고 과학자들은 경고한다.

 미국 버지니아대의 알리 귈러 생물학 교수팀은 지난 3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발표했다.

 이 대학이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이런 문제를 일으키는 건, 뇌 시교차 상핵(SCN)의 도파민 분비 신호다.

 뇌의 생체시계로 통하는 시 교차 상핵은 포유동물의 뇌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약 2만 개의 뉴런(신경세포) 무리를 말하는데 체온, 혈압, 세포분열 속도 등 생체 활동을 24시간 주기로 조절한다.

 실험 결과, D1 도파민 수용체가 제거된 생쥐는 식이성 비만, 대사 질환, 고열량식 관련 생체 리듬 교란 등에 강한 내성을 보였다.

 그러나 SCN에서 D1 도파민 수용체의 발현도를 높이면 식이성 과식, 체중 증가 등 추후 비만으로 이어지는 여러 증상이 다시 나타났다.

 아울러 고열량 음식을 많이 먹을수록 D1 도파민 수용체의 신호가 강해지고, SCN의 신경 활성도는 낮아졌다.

 이는 병리학적 열량 소비의 제어에 관여하는 보상 경로와 생리 리듬 경로가 서로 연관돼 있다는 걸 시사한다.

 실제로 도파민 신호가 차단된, 다시 말해 고지방 먹이의 보상적 쾌락을 좇지 않게 조작된 생쥐는 먹는 시간을 잘 지키고, 비만해지지도 않았다.

 열량과 지방함량이 자연식(wild diet)에 가까운 먹이를 준 생쥐도, 정상적인 섭식 패턴과 운동 시간을 지키고 체중도 적절히 유지했다.

 하지만 도파민 신호가 정상인 생쥐한테 고열량 먹이를 주면, 아무 때나 고열량 먹이를 먹는 습관이 생겨 결국 비만해졌다.

 귈러 교수는 "뇌의 도파민 신호가 일주기성 생리 작용(circadian biology)을 통제해, 아무 때나 고열량 먹이를 먹게 한다는 걸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한편 1976~1980년엔 미국인 성인의 15%만 비만했는데, 현재는 성인의 약 40%가 비만하고 또 다른 33%가 과체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미국인의 체중이 늘어나면서 비만의 영향을 받는 심장 질환·당뇨병·암·고혈압 등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심지어 알츠하이머도 부분적으로 비만과 신체 활동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세브란스병원, 폐암 환자에게도 중입자 치료 시작
세브란스병원이 폐암 환자에게도 암세포를 정밀 타격하는 중입자 치료를 시작했다. 25일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연세암병원은 폐암 초기 환자인 김모(65)씨를 대상으로 회전형 중입자 치료기를 활용한 치료를 개시했다. 치료는 이날부터 일주일 동안 총 4회 진행된다. 중입자 치료기는 탄소 이온을 거대한 입자 가속기에 주입해 암세포를 정밀 조준 타격함으로써 사멸시키는 최첨단 대형 치료 장비다. 정상 세포는 피하면서 암세포에만 고선량 방사선을 집중할 수 있어 치료의 부작용은 줄이고 치료 효과는 높일 수 있다. 정확도가 높은 편이어서 치료 기간도 대폭 단축된다. 국내에서는 연세암병원이 유일하게 고정형 중입자 치료기 1대와 회전형 중입자 치료기 2대를 도입해 가동 중이다. 고정된 각도에서 고선량 방사선을 조사(照射)하는 고정형 치료기는 주로 전립선암에, 누워있는 환자 주위를 360도 돌아가는 회전형 치료기는 주변에 다른 장기가 있어 다양한 각도로 방사선을 조사해야 하는 췌장암, 간암, 폐암 등에 쓴다. 연세암병원은 그동안 전립선암 환자 위주로 중입자 치료를 해오다 최근 췌장암, 간암에 이어 이번에는 폐암까지 확대했다. 하반기에는 두경부암에도 중입자 치료를 적용할 계획이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소주 한 병만 마셔도 하루 설탕 기준량 초과…노화 줄이려면 설탕 끊어야
30대만 진입해도 새치가 하나둘 늘어난다. 40대가 넘으면 본격적으로 흰머리가 생긴다.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고, 피로 해소도 더디다. 밤잠이 조금씩 줄기도 한다. 그렇게 몸 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한숨이 절로 나온다. 그리고 깨닫게 된다. 이제 청춘이 끝장났다는 것을. 몸이 신호를 보낼 때 그렇게 한숨만 쉬어선 안 된다. 미국의 영양학자인 대릴 지오프리는 건강하고 젊게 살려면 세월의 흐름에 따라 '나'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먹는 것, 그중에서도 만병의 근원인 '설탕'부터 끊어내라고 조언한다. 다만 설탕 섭취를 멈추기란 쉽지 않은 일이라고 첨언한다. 사 먹는 음식 대부분에 설탕이 들어있는 데다가 설탕 중독성은 코카인의 여덟 배에 달할 정도로 강력하기 때문이다. 팝스타 제니퍼 로페즈와 강타자 알렉스 로드리게스는 2019년 설탕을 끊겠다며 '노 슈거 챌린지'에 도전했으나 가까스로 열흘을 넘기는 데 그쳤다. 지오프리에 따르면 그마저도 대단한 일이다. 그는 신간 '설탕 중독'에서 "장담하건대 로페스식 챌린지에 도전하는 사람 중 80%는 10일을 채우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책에 따르면 설탕은 호르몬과 뇌를 제압해 설탕을 갈망하게 한다. 이에 따라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