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치료 희귀의약품 허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한국애브비가 수입하는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치료 희귀의약품 '엡킨리주'(성분명 엡코리타맙)를 허가했다고 20일 밝혔다.

 DLBCL은 넓은 부위에 걸쳐 퍼지는(미만성) 비호지킨 림프종 중 하나로 진행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엡킨리주는 면역세포인 T세포 표면에 있는 CD3과 B세포 표면에 있는 CD20에 결합하는 이중 특이성 단클론항체로, 두 가지 이상의 전신 치료를 받은 재발성·불응성 DLBCL 성인 환자 치료에 사용된다.

 이 약의 성분인 엡코리타맙은 CD3와 결합해 T세포를 활성화하고, CD20와의 결합을 통해 B세포를 활성화된 T세포 옆으로 가져와 B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가짜내성 극복' 항암 치료제… 한계 뛰어넘을까
바이오 전문 기업 현대ADM바이오가 암 병용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가짜내성' 극복 효과를 발표하면서 기존 항암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현대ADM은 지난 21일 서울 정동1928아트센터에서 모회사인 현대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개발 중인 암 병용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시험 등 비임상 자료 결과를 발표했다. 현대ADM은 췌장암 대상 시험에서 페니트리움의 가짜내성 극복 효과가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폐암, 유방암 등 난치성 고형암에 대한 페니트리움의 병용 치료 가능성도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날 발표는 전임상 단계이기는 하지만 페니트리움 병용 치료가 가짜내성을 극복하고 췌장암 치료에 효과를 보인 것을 입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가짜내성이란 세포 저항성 때문이 아니라 약물이 종양 내부까지 도달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치료 실패로, 기존 항암제가 한계를 보이는 이유로 꼽혀왔다. 현대ADM은 이달 초 공개한 주주 서한에서 "말기 암 환자 대부분이 전이암으로 사망하며 이들은 암세포 때문이 아니라 방어벽, 즉 가짜내성으로 인해 치료받지 못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ADM이 4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