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없이 머리에 빛 비춰 기억력 높이는 기술 개발

뇌세포 내 칼슘 조절…뇌인지 과학 연구에 활용

 수술 없이 머리에 빛을 비추는 방법만으로 기억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연구단 허원도 초빙연구위원, 신희섭 단장, 이상규 연구위원 연구팀은 빛으로 뇌세포 속 칼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간 기억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칼슘은 세포 이동과 분열, 유전자 발현, 신경전달물질 분비, 항상성 유지 등 거의 모든 생명 현상에 관여한다. 세포 내 칼슘이 부족하면 인지 장애, 심장 부정맥 등 다양한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2015년 9월 학술지에 발표한 세포에 빛을 비춰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 '옵토스팀원'(OptoSTIM1)을 발전시킨 것이다.

 옵토스팀원은 쥐 머리에 청색 빛을 쬐어줘 세포의 칼슘 통로를 열도록 해 세포 내로 칼슘을 유입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빛으로 인해 광수용체 단백질 여러 개가 결합하면서 칼슘 통로를 열게 된다.

 이 기술을 이용하려면 빛을 뇌 조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생체 내에 광섬유를 삽입해야 한다. 광섬유 삽입은 생체 조직 손상과 면역력 약화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광수용체 단백질의 유전자를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빛에 대한 민감도를 크게 높여 광섬유가 필요 없는 '몬스팀원'(monSTIM1)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몬스팀원 기술을 이용해 살아있는 쥐 뇌세포의 칼슘 농도를 높인 뒤 기억력 실험을 진행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부산대 연구팀, 질병 유전자 찾아 생체 분석 AI 기술 개발
부산대는 정보컴퓨터공학부 송길태 교수 연구팀은 부산대병원 순환기내과 이혜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에서 질병에 대한 치료적 유전자 타깃 및 생체 지표 유전자 여부를 예측하고 결과를 설명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질병은 개인이 가진 여러 유전적 요소의 복합적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 연구팀은 어떤 유전자의 치료적 유전자 또는 생체 지표 유전자로서 가능성을 예측하는 AI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질병에 관여하는 여러 생물학적 요소 사이에서 복합적 상호작용을 모델링하고 연산 결과 시각화를 통해 모델 예측 결과에 대한 설명도 제공한다. 송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질병과 유전자 사이 연관성 여부만 단순 예측했던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특정한 유전자의 치료적 유전자 및 생체 지표 유전자로서 가능성을 정밀 예측하는 실전적 AI 시스템을 개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AI 시스템을 활용하면 단시간 내 특정 질병에 대한 치료적 유전자 후보군을 발굴하고, 이를 기반으로 질병 유발 유전자에 직접 작용해 질병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정밀 의료 실현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해당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