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린 누에' 파킨슨병 억제…동물실험 입증

한의학연 "동의보감에 실린 충부 한약재 가치 조명"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건혁 박사 연구팀이 말린 누에(백강잠) 추출물의 파킨슨병 억제 효과를 동물 실험으로 입증했다고 23일 밝혔다.

 신경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은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가 사멸하면서 발생한다. 몸 떨림과 경직, 느린 동작, 자세 불안정 등 증세를 보인다.

 연구팀은 동의보감에도 실린 백강잠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파킨슨병을 유발한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동의보감에는 백강잠이 중풍, 간질 등 뇌 신경계 질환 치료제로 사용된다고 기록돼 있다.

 연구팀이 파킨슨병을 유도한 쥐에게 닷새 동안 백강잠 추출물을 투여한 뒤 회전봉에서 떨어지지 않고 운동을 계속하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백강잠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3배 길었다.

 기둥 위에서 바닥까지 내려오는 속도도 2배 이상 빨랐다.

 실험군 쥐의 신경세포에서는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소 '글루타티온'이 회복되는 모습이 확인됐다.

 박건혁 박사는 "매미 허물(선퇴)에 이어 백강잠의 파킨슨병 개선 효과를 과학적으로 밝힘으로써 동의보감 속 충부(蟲部·곤충) 한약재의 가치를 입증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