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 수유가 45세 이전 조기 폐경 예방에 도움된다"

  임신과 모유 수유가 조기 폐경(45세 이전) 예방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대학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1989년부터 시작된 '간호사 건강 연구'(Nurses' Health Study II) 참가 여성 10만8천여명의 26년간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3일 보도했다.

 만기 출산 2회인 여성은 만기 출산이 한 번도 없는 여성에 비해 조기 폐경 위험이 16%, 만기 출산 3회인 여성은 2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크리스틴 랭턴 연구원은 밝혔다.

 출산 횟수가 3회 이상이고 출산 후 아기에 7~12개월 동안 모유만 먹인 여성은 출산 횟수는 같으면서 모유 수유 기간이 1개월 미만인 여성에 비해 조기 폐경 위험이 32% 낮았다.

 이는 신생아를 모유만 먹여서 키우는 것이 조기 폐경 예방에 효과가 가장 크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결과는 모유를 최소한 6개월 이상 12개월까지 먹이는 것이 좋다는 미국 소아과학회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와 일치하는 것이기도 하다.

 임신과 모유 수유는 배란을 차단하기 때문에 난포의 고갈을 지연시켜 조기 폐경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조기 폐경은 심장병, 인지기능 저하, 골다공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사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대란 초과사망 없었다? 숫자로 드러나지 않은 피해 봐야"
전공의들이 의과대학 증원에 반대해 병원을 떠난 1년여간 '초과 사망'이 없었다는 분석이 나온 가운데 연구자를 포함한 의료계에서는 숫자로 드러나지 않은 피해를 들여다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진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교수(예방의학과 전문의)는 18일 '더 나은 의료시스템을 함께 만들어가는 의료소비자-공급자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이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2019∼2023년과 의정갈등 시기인 2024년을 비교한 결과, 지난해 사망률이 특별히 증가했다는 증거는 찾기 어렵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령 표준화 사망률이 의정갈등 이전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예상되는 사망자 수를 넘어선 '초과 사망'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의료인의 파업이 환자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은 앞선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2000년 '의약분업 사태' 당시 의사 파업 때 환자 사망률이 특별히 증가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김 교수는 초과 사망이 없었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으면서도 단순히 그 숫자에 주목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는 "초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찰나에 일어나는 핫홀 2배 증폭시키는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정영 석좌교수와 인하대 이문상 교수 공동 연구팀은 순간적으로 소멸 하는 플라즈모닉 핫홀을 더 오래 유지하고 증폭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플라즈모닉 핫홀은 빛이 금속 나노 구조체 표면에 닿으면 순간적으로 만들어지는 정공(hole)이다. 높은 에너지를 갖고 있어 고효율로 광에너지를 전기·화학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지만, 피코초(1조분의 1초) 안에 사라지기 때문에 실제 응용하기는 쉽지 않다. 핫홀의 이동 거리가 수 ㎚(나노미터·10억분의 1m)에 불과해 실시간 흐름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고분해능 분석 장비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금속 나노 그물망을 차세대 반도체 핵심 소재인 질화갈륨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 핫홀 추출을 촉진하는 데 성공했다. 핫홀 추출 방향과 같은 질화갈륨 기판 위에서는 다른 방향보다 핫홀의 흐름 증폭이 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광전도성 원자힘현미경을 활용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정도인 ㎚ 수준에서 핫홀의 흐름을 실시간 분석했다. 핫홀은 금 나노 그물망에 빛이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영역에서 강하게 활성화되지만, 질화갈륨 기판의 성장 방향을 바꾸면 이외의 영역에서도 핫홀의 흐름이 활성화되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