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 수유가 45세 이전 조기 폐경 예방에 도움된다"

  임신과 모유 수유가 조기 폐경(45세 이전) 예방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대학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1989년부터 시작된 '간호사 건강 연구'(Nurses' Health Study II) 참가 여성 10만8천여명의 26년간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3일 보도했다.

 만기 출산 2회인 여성은 만기 출산이 한 번도 없는 여성에 비해 조기 폐경 위험이 16%, 만기 출산 3회인 여성은 2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크리스틴 랭턴 연구원은 밝혔다.

 출산 횟수가 3회 이상이고 출산 후 아기에 7~12개월 동안 모유만 먹인 여성은 출산 횟수는 같으면서 모유 수유 기간이 1개월 미만인 여성에 비해 조기 폐경 위험이 32% 낮았다.

 이는 신생아를 모유만 먹여서 키우는 것이 조기 폐경 예방에 효과가 가장 크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결과는 모유를 최소한 6개월 이상 12개월까지 먹이는 것이 좋다는 미국 소아과학회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와 일치하는 것이기도 하다.

 임신과 모유 수유는 배란을 차단하기 때문에 난포의 고갈을 지연시켜 조기 폐경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조기 폐경은 심장병, 인지기능 저하, 골다공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사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온라인판에 실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정강이뼈 뒤로 얼마나 기울었나' AI가 자동으로 측정
무릎 관절의 안정성 등에 관여하는 정강이뼈(경골)가 뒤쪽으로 얼마나 기울었는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국내 연구진의 주도로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노두현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촬영된 무릎 관절 측면 엑스레이 영상 1만여건을 바탕으로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경골 후방 경사각은 종아리 안쪽에 있는 경골을 옆에서 볼 때 관절이 얼마나 뒤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도다. 무릎 관절의 안정성과 무릎 수술 후 인공관절 수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각도가 크면 클수록 평소에 십자인대를 다칠 위험이 크고, 무릎 인공관절 수술 예후도 나빠질 수 있다. 그러나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없어 같은 환자라도 측정하는 사람이나 무릎 엑스레이 촬영 각도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이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수술 예후 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무릎 엑스레이 영상에서 무릎뼈의 해부학적 기준점 6곳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기준점을 이용해 경골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