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스 "AI 기반 '드노보 항체 설계' 성공"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갤럭스는 AI 단백질 디자인 플랫폼 '갤럭스 디자인'(GaluxDesign)을 활용해 AI 기반 '드노보'(de novo) 항체 설계의 정밀성과 확장 가능성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를 의학 논문 사전 등록 사이트 '바이오 아카이브'에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드노보 항체 설계는 생체 면역 반응을 활용하거나 항체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에 의존한 기존 항체 개발 방식과 달리 AI가 완전히 새로운 항체를 설계하는 방식으로, 신약 개발 분야에서 가장 도전적인 기술로 평가된다.

 갤럭스는 이번 연구에서 PD-L1, HER2, EGFR(S468R), ACVR2A/B, FZD7, ALK7 등 6개 치료 타깃에  대한 항체를 설계하고 결합력을 검증했다.

 특히, 기존에 구조 정보가 없는 ALK7에 대해서도 결합 항체 도출을 성공하며 향후 GPCR, 이온 채널 등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단백질을 타깃으로 한 범용적인 항체 설계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회사가 설명했다.

 갤럭스에 따르면 설계된 항체들은 상업용 치료 항체와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결합력과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단일 아미노산 차이를 구별할 정도의 높은 분자적 특이성을 나타내며 신약 개발 초기 과정에서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했다.

 갤럭스 석차옥 대표는 "드노보 항체 설계는 원자 수준의 정밀성과 물리화학적 원리에 대한 깊은 이해가 요구되는 복잡한 문제"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갤럭스 디자인의 높은 설계 정밀도를 확인했으며 이를 통해 신약 개발의 효율성과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통합돌봄' 범부처 위원회 출범…"새로운 사회 안전망"
돌봄이 필요한 노인이나 장애인 등이 살던 곳에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함께 받을 수 있게 하는 '통합돌봄'의 내년 전국 시행을 앞두고 범부처 위원회가 출범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은경 장관 주재로 제1차 통합돌봄정책위원회를 열고 통합돌봄 정책 추진 현황과 지방자치단체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이기도 한 통합돌봄은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통합·연계해 제공하는 것이다. 초고령사회 돌봄 수요 급증에 대응하고 불필요한 요양병원 등 입원·입소를 줄여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시범사업 형태로 우선 추진됐으며, 내년 3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맞춰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제도 안착을 위해 구성된 통합돌봄정책위원회엔 복지부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련 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이날 첫 회의에선 부처별로 통합돌봄 사업 현황과 계획을 발표했다. 복지부는 통합돌봄 표준모델을 기반으로 지자체의 조직·인력·서비스·인프라 확보 현황을 점검하는 등 본사업 준비를 지원하고 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