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티오닌 섭취 줄이면 자가면역질환 예방·치료에 도움"

 아미노산의 하나인 메티오닌(methionin) 섭취를 줄이면 자가면역질환의 발생과 진행을 지연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자가면역질환이란 면역체계가 자체의 기관, 조직, 세포를 외부물질로 오인, 공격함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으로 류머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루푸스, 염증성 장 질환, 1형(소아) 당뇨병,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등이 이에 속한다.

 미국 밴 앤델 연구소(Van Andel Institute)의 러셀 존스 교수 연구팀은 메티오닌은 건강한 면역체계 유지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면역체계의 과잉 반응을 유발, 자가면역질환 위험을 높이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0일 보도했다.

 메티오닌은 병원균과 싸우기 위해 출동하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증식과 특정 하위세포(subtype)의 분화를 촉진, 지나친 염증 반응에 의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자가면역질환의 하나인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에서 나타나는 신경 손상이 그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다발성 경화증 모델 생쥐들에 메티오닌 섭취를 크게 줄인 결과 T세포의 재프로그래밍(reprogramming)에 변화가 나타나면서 뇌와 척수에 염증을 일으키는 T세포의 능력이 줄어들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다발성 경화증은 면역체계가 뇌와 척수 등 중추신경계를 산발적으로 공격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평형, 운동, 시력, 언어, 감각, 성 기능, 배뇨-배변 장애, 인지장애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난다.

 이 연구결과는 앞으로 임상 연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자가면역질환 소인이 있는 사람은 음식을 통한 메티오닌 섭취를 줄이는 것이 이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전문지 '셀 대사'(Cell Metabolism)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대란 초과사망 없었다? 숫자로 드러나지 않은 피해 봐야"
전공의들이 의과대학 증원에 반대해 병원을 떠난 1년여간 '초과 사망'이 없었다는 분석이 나온 가운데 연구자를 포함한 의료계에서는 숫자로 드러나지 않은 피해를 들여다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진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교수(예방의학과 전문의)는 18일 '더 나은 의료시스템을 함께 만들어가는 의료소비자-공급자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이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2019∼2023년과 의정갈등 시기인 2024년을 비교한 결과, 지난해 사망률이 특별히 증가했다는 증거는 찾기 어렵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령 표준화 사망률이 의정갈등 이전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예상되는 사망자 수를 넘어선 '초과 사망'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의료인의 파업이 환자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은 앞선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2000년 '의약분업 사태' 당시 의사 파업 때 환자 사망률이 특별히 증가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김 교수는 초과 사망이 없었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으면서도 단순히 그 숫자에 주목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는 "초과


메디칼산업

더보기
인공장기 손상 없이 지방간 측정한다…간세포 97% 생존
한국화학연구원은 김현우·배명애 박사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오가노이드(인공장기)와 함께 간세포 손상 없이 특정 부위 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나노 탐침(바늘)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음주와 상관 없이 고지방 위주의 식사와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간세포에 지방이 쌓이는 질환이다. 처음엔 물렁물렁해지다가 나중에는 콜라젠과 같은 섬유성 물질이 과다 생성되면서 단단해지는 간경화를 거쳐 간암까지 악화할 수 있어 발병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진행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 인공장기를 부서질 때까지 눌러 간 조직의 경도(딱딱한 정도)를 측정하는 방식이 쓰이지만, 살아있는 상태에서 계속 측정하기 어렵고 특정 위치의 경도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지방이 쌓인 부위를 시각화하는 형광 이미징과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 탐침을 이용해 측정 부위에만 미세한 압력을 가하는 기술을 이용해 간 조직세포의 손상 없이 비침습적으로 지방간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탐침이 인공장기를 누를 때 휘어지는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지방 축적에 따른 경도 변화를 '영률'(고체 재료의 강성을 나타내는 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