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유발 타우 단백질, 뇌에 어떻게 퍼지는지 알아냈다"

변형 타우의 뇌 확산에 관여하는 뉴런 세포막 지질단백질 발견
UC 산타바버라 연구진, 저널 '네이처'에 논문

  뇌 신경세포(뉴런)에서 흔히 발견되는 타우 단백질은 전측두엽 치매, 알츠하이머병, 만성 외상성 뇌병변증 등 신경 퇴행 질환의 주범으로 꼽힌다.

 그러나 정상적인 타우 단백질은 뉴런의 구조 및 안정성 유지와 세포 내 영양분 운반 등에 도움을 준다.

 모든 문제는 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인 형태로 접히는 데서 시작된다.

 이렇게 잘못 접힌 타우는 끈끈하고 잘 분해되지 않는 성질로 변하면서 뉴런 안에 '신경 섬유 다발(neurofibrillary tangle)'을 형성해, 뉴런의 기능을 교란하다가 결국 죽음으로 이끈다.

 이렇게 변형된 타우 단백질은 광우병 등 '프라이온 질병(prion diseases)'과 흡사하게, 한 뉴런에서 인접한 다른 뉴런으로 퍼져 나간다.

 접힘 구조에 문제가 생긴 타우 단백질이 뉴런을 빠져나오면, 곁에 있던 정상 뉴런이 빨아들인 뒤 이를 형판으로 삼아 다시 잘못 접힌 타우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이 반복돼 뇌 조직에 넓게 확산하면 알츠하이머병 같은 신경 질환이 생긴다.

 이처럼 병을 일으키는 변형 타우 단백질이 뇌 신경조직에 퍼지는 메커니즘을 마침내 미국 캘리포니아대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이 발견은 비정상 타우 단백질의 확산을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실마리가 될 거로 기대된다.

 산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 산타바버라)의 케네스 S. 코지크 신경과학 교수팀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2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이 메커니즘에서 핵심 작용을 하는 건 LRP1이라는 저밀도 지질단백질이다.

 뉴런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이 지질단백질은, 뉴런의 세포 골격 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 흡수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알고 보니 뉴런 밖으로 탈출한 변형 타우를 인접한 뉴런으로 빨아들이는 역할을 하는 게 바로 LRP1이었다.

 연구팀은 유전자 편집 기술로 몇몇 저밀도 지질단백질 수용체의 발현을 하나하나 억제하는 반응 실험을 통해, 타우 단백질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LRP1을 찾아냈다.

 코지크 교수는 "이 지질단백질은 세포 밖 영역의 쓰레기통처럼 작용해 그 자체로 흥미로웠다"라면서 "타우 단백질뿐 아니라 다른 노폐물이 있으면 함께 빨아들였다"라고 말했다.

 타우 단백질을 식별하는 표시 역할을 하는 건 필수아미노산 라이신(lysine)이었다. 타우 단백질의 표면에서 뻗어 나온 라이신이 LRP1과 '비밀 악수(secret handshake)'를 해 뉴런의 문을 여는 것과 비슷했다.

 생쥐 실험 결과, LRP1 생성 코드를 가진 유전자가 정상이면 타우 단백질이 뇌세포에 널리 퍼졌고, 반대로 LRP1 유전자를 억제하면 정상 뉴런이 변형 타우를 흡수한 뒤 재생성하는 게 확연히 줄었다.

 비록 동물 실험이지만 타우 단백질의 뇌세포 확산이 완전히 멈춘 걸 관찰하기는 처음이라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코지크 교수팀의 다음 목표는, LRP1이 타우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해독해,  약물 개발의 표적이 될 수 있는지 타진하는 것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 추가모집 곧 마감…입영·수련단축 변수 속 끝까지 고심
사직 전공의(인턴·레지던트)를 대상으로 하는 5월 추가 모집 마감이 머지않은 가운데 사직 전공의 대부분이 아직까지 뚜렷한 의사를 표현하지 않은 채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초 전문의 시험 응시를 원하는 레지던트 상급연차를 중심으로 전공의들이 막판까지 고심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면서 이번에 얼마나 많은 전공의가 병원으로 돌아올지가 의료 정상화의 주요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25일 의료계에 따르면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진행 중인 전국의 수련병원들은 오는 27일 전후로 원서 접수를 마감하고 이달 말에 합격자를 발표한다. 이번 추가 모집은 정부가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등 의료계의 건의를 받아들여 수련 재개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한 데 따른 것이다. 통상 상·하반기 두 차례 진행되는 전공의 정기 모집과는 '별개'의 추가 모집으로, 각 병원에서 자율적으로 전형을 진행하고 있다. 접수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주요 수련병원 지원자는 아직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귀를 마음먹은 전공의들도 우선 주위를 살피며 조심스러워하고 있기도 하고, 대개 마감 시간에 맞춰 마지막 날 접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다. 복귀 카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