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부족한 코로나19 환자, 사망 위험↑"

.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는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라이프니츠 실험바이러스학 연구소의 귈사 가브리엘 교수 연구팀은 테스토스테론 부족이 코로나19 환자의 증상 악화와 사망의 위험요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3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함부르크-에펜도르프대학 메디컬센터 집중치료실(ICU)에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45명(남성 35명,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ICU 입원 첫날 테스토스테론,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등 12가지 호르몬의 혈중 수치를 측정하고 경과를 지켜봤다.

 이 중 남성 환자는 9명, 여성 환자는 3명이 사망했다.

 남성 환자는 3분의 2 이상인 68.6%가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았다.

 남성 사망 환자도 대부분이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았다.

 여성 환자는 60%가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았다. 여성도 난소에서 소량의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된다.

 테스토스테론은 체내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 등 여러 형태의 면역반응을 조절한다.

 테스토스테론은 바이러스가 유도하는 과잉 면역반응인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가브리엘 교수는 설명했다.

 따라서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정상인 남성은 '사이토카인 폭풍'이 억제돼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연구논문을 전문가들의 검토 전 미리 공개하는 사이트인 MedRxiv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