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가 죽으면 녹색 형광도 꺼진다…실시간 추적기술 개발

생명연 "세포 사멸과 관련된 암·뇌 질환 연구에 기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선욱 박사 연구팀이 세포의 사멸 과정을 실시간 추적할 수 있는 '형광 리포터'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세포사멸(Apoptosis)은 세포자살, 세포자멸사 등으로 불리는 현상으로 세포 형태와 내부의 생화학적 변화로 세포가 스스로 죽는 것을 말한다.

 생명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으로, 손상된 세포가 제때 사멸하지 않으면 암, 심혈관 질환, 알츠하이머병 등 다양한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연구팀은 세포사멸 과정에서 '최종 집행자' 역할을 하는 '카스파제-3'(caspase-3) 효소에 주목했다.

 이 효소는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선택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세포를 죽음에 이르게 한다.

 기존 카스파제-3을 표적으로 하는 형광 물질은 카스파제-3이 작용할 때 어두운 상태에서 형광이 켜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여러 형광물질을 조합해 만들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세포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연구팀은 빛을 받으면 체내에서 녹색으로 빛나는 '녹색형광단백질'(GFP) 돌연변이를 이용해 세포의 죽음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녹색형광단백질 안에 카스파제-3이 절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삽입해 카스파제-3이 활성화되면 형광물질이 쪼개지면서 빛이 꺼지는 원리다.

 서열을 정교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작동방식이 간단하고 녹색형광단백질 단일 물질만으로 형광의 소멸을 측정할 수 있어 민감도와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김선욱 박사는 "기존 방법보다 훨씬 민감하고 간편하게 세포사멸을 관찰할 수 있어 항암제와 같은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 검증, 세포사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퇴행성 뇌 질환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선욱 박사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