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웅' 간호사 72.8% "부당처우 경험"

환자감소 이유 강제휴무-개인 연차 강제 사용-일방적 근무부서 변경-무급휴직 등

 대한간호협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속 간호사들의 근무 환경을 점검한 결과 72.8%는 부당한 처우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설문 조사는 지난 4월 27일부터 이달 4일까지 전국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2천49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불이익 유형으로는 환자 감소를 이유로 강제휴무를 당한 경우(45.1%·복수 응답)가 가장 많았다.

  개인 연차 강제 사용(40.2%), 일방적 근무부서 변경(25.2%), 무급휴직 처리(10.8%) 순이었다.

 또 유급 휴직 시에는 평균 임금의 70%를 지급해야 한다는 규정에도 불구하고 이보다 적은 급여를 받은 사례(2.9%), 가족돌봄휴가를 허용하지 않고 계약을 연장하지 않은 사례(13%)도 있었다.

 무급 휴직으로 조치한 후 권고사직된 간호사도 6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하면서 경영난에 시달리는 병원들이 간호사들의 최우선으로 감원하는 등 불합리한 행태를 보인다고 간협은 지적했다.

 간협은 "간호사들을 앞에선 코로나19 시국의 '영웅'으로 대접하더니 뒤에선 '찬밥' 취급하고 있다"며 "이러한 행태를 방치할 경우 국가적 재난 시 간호사 확보가 불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간호사를 법정 필수인력으로 확보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