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을 보면 환자에게 맞는 항생제가 보인다"

 소변으로 환자에게 맞는 항생제를 좀더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건양대병원은 진단검사의학과 이종욱 교수가 '약물 내성 확인용 소변 검출 키트'(KY-test)를 발명해 특허를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이 교수가 고안한 키트는 소변 내 세균 존재 여부와 항생제 감수성을 한 번에 진단할 수 있다.

 항생제 종류에 따른 내성 여부도 살필 수 있어서 약물 선택에도 유용하다.

 이를 통해 환자에게 맞는 항생제를 한시라도 빨리 처방할 수 있다.

 현재 소변 내 세균 배양과 동정 감수성 검사에는 사흘 이상이 걸린다.

 염증성 질환의 경우 먼저 원인으로 의심되는 세균에 효과적인 항생제를 선택해 치료를 시행한다.

 다만, 치료 도중 소변 내 세균 배양검사 및 20여 가지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는 항생제로 교체하기도 한다.

 이종욱 교수는 "특허기술을 상용화하면 미생물 검사실을 별도로 운영하지 않는 병·의원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병원에서 '발명가 의사'로 불리는 이 교수는 앞서 휴대용 수액 가방, 소아 채혈용 압박대, 소변배양 컵 등 특허도 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