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조현병' 나이 들어 치매 많은 이유 밝혀"

나이 들면서 생기는 시냅스 손상 패턴, 뇌 영역별로 달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 연구진, 저널 '사이언스'에 논문

 

 시냅스(synapses)는 뇌의 신경세포(뉴런) 사이를 연결하는 접합부를 말한다.

 뉴런은 시냅스를 통해 전기 신호와 화학 신호를 인접 뉴런에 전달한다. 기억이 저장되는 곳도 시냅스다.

 이런 시냅스 손상과 연관돼 생기는 뇌 질환은 알려진 것만 130개가 넘는다.

 그런데 나이를 먹으면 뇌의 시냅스 다양성이 어떻게 달라지고, 이에 따라 어떤 뇌 신경 질환에 특히 취약해지는지를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면서 뇌의 뉴런과 시냅스 등을 구성하는 분자 유형별로 서로 다른 색채 코드를 부여해 시냅스 부분을 집중적으로 부각했다.

 영국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대 연구진은 11일(현지시간)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촬영한 뇌 이미지를 정밀 분석해, 나이를 먹으면서 생기는 시냅스 수와 분자 구성의 변화 패턴이 뇌의 영역별로 다르다는 걸 확인했다.

 이런 시냅스 변화는 사람으로 쳐서 아동기-중년기-노년기의 3개 국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시냅스 유형은 뇌의 영역에 따라 독특한 패턴으로 변하다가 중년에 이르자 도드라지게 다양한 배열을 드러냈다.

 이 시기의 뇌 이미지는 여러 가지 색으로 폭발하듯이 폭넓은 시냅스 다양성을 보여줬다.

 그러나 아동기와 노년기의 뇌는 시냅스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복잡하기도 중년기보다 덜 했다.

 연령대에 따라 시냅스 다양성이 이렇게 변하는 걸 보면, 왜 특정 연령대에 특정 뇌 영역에서 시냅스 손상이 생기는지를 새롭게 통찰하게 된다고 연구팀은 말한다.

 특정 연령대에 특정 뇌 질환이 생기는 이유, 즉 왜 조현병은 청소년기에 자주 발병하고, 치매는 노년기에 많이 생기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대학 임상 뇌과학 센터의 수석연구원인 세스 그랜트 교수는 "우리가 아는 것 가운데 가장 복잡한 뇌에 대해 이 정도로 상세히 알게 된 건 중대한 진전"이라면서 "인생의 각기 다른 시기에 뇌가 특정 질환에 취약한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