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산 위험 '자궁경부무력증'…출산 포기 마세요

질식자궁경부복합술 실패 시 복식자궁경부복합술 시행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복식자궁경부봉합술로 쌍둥이 생존율 상승 확인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자궁 입구를 묶는 시술을 받고도 조산의 아픔을 겪어야 했던 산모들에 희망을 줄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 쪽에서 자궁 경부를 묶는 '질식자궁경부봉합술'에 실패한 산모에게 개복 후 자궁을 꺼내 경부를 묶는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하면 태아의 생존율을 90% 이상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근영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은 2007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이 병원에서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받은 165명(단태아 146사례·쌍태아 19사례)의 자궁경부무력증 임신부를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이들은 모두 이전에 질식자궁경부봉합술을 받았으나 조산의 아픔을 겪은 임신부다.

 연구 결과 질식자궁경부봉합술에 실패한 후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받았을 때 태아의 생존율은 22.8%에서 91.1%로 올라갔다. 쌍둥이 생존율은 15.4%에서 94.0%로 크게 상승했다.

 연구팀은 복식자궁경부봉합술에 성공만 하면 태아의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봤다. 또 쌍둥이를 임신한 자궁경부무력증 여성에게도 이 수술법이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질식자궁경부봉합술 실패 후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받은 자궁경부무력증 환자의 단태아와 쌍태아 생존율을 비교한 세계 최초의 연구 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자궁경부무력증은 말 그대로 자궁의 입구인 자궁 경부에 힘이 없어 태아가 자궁 밖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칭한다. 임신 16주 차에서 23주 차에 많이 발생하며, 뚜렷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진단되면 조산을 방지하고자 약물치료를 하거나 질 쪽으로 접근해 자궁경부를 묶는 질식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한다. 자궁경부무력증이 발생하는 임신 16주∼23주 차에 조산할 경우 태아가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질식자궁경부봉합술을 받고도 조산을 경험한 임신부에게는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고려하기도 한다.

 복식자궁경부복합술은 임신부의 배를 절개하고 태아가 들어있는 자궁을 꺼낸 뒤 자궁 경부를 묶는 수술이다. 출혈 위험이 크고 수술 시 자칫하면 태아를 감싸고 있는 양막이 터질 가능성이 있어 초고난도 수술로 꼽힌다.

 현재 미국 산부인과 임상지침에서는 한명의 태아를 임신했을 때만 권유하고, 쌍둥이 임신 시에는 별다른 지침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받은 임신부가 쌍둥이를 무사히 출산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관련 지침이 만들어질 것으로 연구팀은 예상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쌍둥이의 임신·출산에서 질식자궁경부봉합술에 실패한 자궁경부무력증 임신부에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적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라며 "향후 산부인과 임상지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교수가 속한 한림대강남성심병원은 자궁경부봉합술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시행한 단일기관이다. 500사례 이상의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포함해 4천사례 이상의 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개혁]"대형병원, 전공의 의존 낮추고 중증환자 중심으로 바꿔야"①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대거 병원을 떠난 후 좀처럼 돌아오지 않으면서 국내 의료체계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전문의가 되고자 수련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의 이탈만으로 심각한 '의료대란'이 벌어진 것은 그동안 전공의에 지나치게 의존해온 국내 의료체계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이 역설적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제 기능을 일깨우고 있다. 상급종합병원들은 전공의 이탈로 어쩔 수 없이 경증환자를 돌려보내고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야말로 상급종합병원의 '정상'적인 모습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공의에게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고,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국내 의료체계의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한다. ◇ 의료대란 부른 '전공의 과의존'…정부 "병원 구조 바로잡겠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그동안 대학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은 교수나 전문의보다 '값싼' 노동력인 전공의를 대거 투입하며 비용 절감을 꾀해왔다. 2021년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에서 전공의는 상급종합병원 전체 의사 인력의 37.8%를 차지했다. 이른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명에너지 활용한 환경호르몬 검출법 개발…안전성 평가 기준 기대
부산대학교는 생명과학과 윤부현·김태진 교수팀이 내분비계 장애 물질(환경 호르몬)을 판별하는 세포주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판별 시험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 환경호르몬은 외부에서 유입돼 체내 호르몬의 생리 작용을 교란하는 물질로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와 함께 세계 3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환경 호르몬 판별을 위한 다양한 검색 시험법의 가이드라인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이번에 부산대 연구팀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생리 작용을 교란하는 에스트로겐성 환경 호르몬을 판별할 수 있는 시험법 개발에 성공했다. 환경호르몬이 국제적인 환경문제로 대두되면서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1998년부터 환경 호르몬 판별 시험법 개발연구를 추진해 오고 있다. 최근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환경 호르몬 판별을 위한 동물대체시험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부산대 연구팀은 동물실험 없이 인체 세포주만으로 에스트로겐성 환경 호르몬을 탐지할 수 있는 시험법을 개발했으며, OECD 시험 가이드라인 검토를 거쳐 국제 표준 시험법으로 채택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해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이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