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건강 쉽게 풀어쓴 ‘닥터 지바고의 허리 업 상담실’ 출간

수원 윌스기념병원 박춘근 원장, ‘튼튼한 허리 든든한 인생(2014)’ 후속 편

 (수원=휴먼메디저널) 김상묵 기자 = 보건복지부 지정 척추전문병원 수원 윌스기념병원 박춘근 병원장은 허리건강에 대해 쉽게 풀어쓴 저서 ‘닥터 지바고의 허리 업 상담실’을 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닥터 지바고는 ‘튼튼한 허리를 지켜주고, 휘어진 허리를 바로잡고, 아픈 허리를 고쳐주는 의사’를 의미한다.

 이 책은 허리 아픈부위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아 질환에 대한 염려와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환자들의 입장에서 궁금해하는 내용 위주로 책을 구성했다.

 ‘1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는 요즘 스마트 폰 사용량 증가로 국민 척추질환이 된 목 디스크 등 목 질환과 가장 많이 알려진 디스크탈출증 등의 등·허리 질환, 어깨통증과 무릎통증을 유발하는 관절질환에 대해 설명했다.

 ‘2부 수술, 할 것인가 말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는 수술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를 설명하며 도수치료나 신경주사, 레이저시술 등의 비수술적 요법과 디스크성형술, 척추유합술 등 수술적 요법에 대해 그림과 사진을 덧붙여 쉽게 설명했다.

 환자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치료법에 대해 시술이나 수술 별로 어떤 질환에 사용되는지, 치료 방법이나 소요시간, 입원기간, 주의할 점 등에 대해 자세히 정리했다.

 ‘3부 허리 펴는 운동, 척추 살리는 생활법’은 허리와 관절을 위해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법과 목·허리·관절을 위한 올바른 걷기, 운전, 음식 등 건강한 생활습관에 대한 설명 그리고 개개인마다 다를 수밖에 없는 척추·관절 증상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페이지로 구성했다.

 이 책은 ‘튼튼한 허리 든든한 인생(2014)’을 잇는 후속 편이다.

 박춘근 병원장은 “지난 수십 년간 ‘뼈아픈 환자’들을 만나왔고, 최근 환자 중에는 TV방송이나 검색을 통해 자신의 증상을 스스로 진단하고 치료방법까지 제시하는 환자도 있었다”며 “ 그만큼 건강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기도 했지만,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건강정보가 넘쳐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문으로 무성한 ‘~카더라’라는 정보 보다는 그 동안의 경험과 연구, 치료 등을 바탕으로 척추건강에 대한 정석을 담아 환자들의 고통을 덜어내고자 했다”며 책을 펴게 된 취지를 밝혔다.

 박춘근 병원장은 지난 2002년 미국 현대 척추외과의 선구자인 윌스 교수의 뜻을 이어받아 최고 수준의 척추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윌스기념병원을 개원한 후 미세현미경 디스크수술, 내시경디스크수술 등 최소침습척추수술을 국내에 보급한 1세대 주자로 최소침습수술의 대가로 인정받고 있다.

 윌스기념병원은 연면적 14,300㎡에 지하3층, 지상7층의 규모로 218병상을 갖추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의료 최후 보루 국립대병원 존립위기…'수술'없인 미래 없다
지역 필수의료의 붕괴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최후의 보루'로 여겨지는 국립대학병원이 인력 유출, 시설 노후화, 환자 감소의 삼중고에 시달리며 존립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국립대학병원 혁신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립대병원의 현실은 암담하다. 가장 시급한 문제는 의료 인력의 붕괴다. 지방 국립대병원의 병상당 의사 수는 0.36명으로, 서울 '빅5' 병원의 0.60명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의사 한 명이 감당해야 할 환자 수가 훨씬 많다는 의미다. 낮은 급여와 열악한 근무 환경은 의료진의 이탈을 부추기고 있으며, 특히 간호 인력은 2년 내 퇴사율이 50%를 훌쩍 넘어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는 것조차 버거운 실정이다. 낡은 시설과 장비는 환자들의 발길을 돌리게 만드는 또 다른 핵심 원인이다. 유방암 진단의 기본 장비인 맘모그래피의 경우 국립대병원의 장비 노후화율은 37.1%에 달하지만, 빅5 병원은 4.3%에 그쳤다. 최신 의료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운 환경은 환자들의 수도권 '원정 진료'를 가속화하고, 이는 다시 병원의 수입 감소와 임상 경험 축소로 이어져 의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화학물질·미세먼지에서 살아남기
◇ 미세플라스틱의 습격 지난 2018년 8월부터 커피전문점 매장 내에서 일회용 컵 사용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정부 정책이 시행됐다. 조금 불편해지기는 했지만, 필자는 굉장히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정책을 통해 차가운 음료의 테이크아웃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환경문제에서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미세플라스틱이다. 미세플라스틱은 말 그대로 아주 작은, 미세한 플라스틱을 말한다. 미세함의 기준에 대해서는 공통된 정의가 없으나 대개는 직경 5밀리미터 이하로 규정한다. 미세플라스틱이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다. 지금 우리 주변에도 무수히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치약, 세정제, 화장품 등 각종 제품 속에 이미 상당량의 미세플라스틱이 들어 있다. 그러면 미세플라스틱이 왜 갑자기 주목받게 된 것일까? 그것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바다로 흘러 들어간 미세플라스틱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속속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독자 여러분 중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을 다룬 다큐멘터리나 바지락, 굴 등 조개류 섭취를 통해 한 사람이 매년 212개의 미세플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