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까지 스며든 불평등…"소득 낮을수록 난임 극복 어려워"

아주대병원 신재용 교수팀 "인공 출산 시술에 보험 확대해야"

 

 난임을 극복하고 아이를 갖는 것도 고소득층일수록 유리하다는 통계가 나왔다.

 아주대학교 예방의학과 신재용 교수팀은 2005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동일집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20세∼39세 난임 여성 1만108명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15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2002년 난임 판정을 받은 여성들을 나이, 사는 곳, 가입한 건강보험 종류, 경제적 수준이 고루 섞이도록 무작위 층화추출했다. 이후 이들을 2013년까지 재평가하고 추적했다.

 그 결과 100인년(person-years)으로 환산한 출산 성공률은 소득 수준과 함께 높아졌다. 고소득층 여성 31.87%, 중간 소득층 여성 23.79%였다. 저소득층 여성의 경우 출산 성공률이 12.32%에 그쳤다.

 인년은 각 개인의 서로 다른 관찰 기간을 합한 개념으로, 단순한 비율보다 시간적 차원을 더 잘 반영한 수치다.

 신재용 교수는 "난임 판정 후 받는 인공 임신 시술에 대한 지불 능력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출산율 차이를 벌린다"고 설명했다.

 1년간 자연 임신이 실패해 난임 판정을 받아도 신체 건강 개선, 인공 수정이나 시험관 아기 시술 등을 통해 출산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도 난임 판정을 받은 여성의 55.1%인 5천569명은 결국 임신에 성공했다.

 인공 시술의 경우 자궁 내 정액을 주입하는 '인공수정'을 먼저 시도한 후, 이마저도 실패하면 '시험관 아기' 시술을 한다. 시험관에서 정자와 난자를 인위적으로 조합해 이를 다시 모체에 이식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이런 시술의 비용이 너무 비싸 저소득층은 접근하기조차 어렵다고 지적했다.

 시험관 아기 시술은 비보험의 경우 최대 600만원에 육박하는 비용이 들고, 보험이 적용돼도 200만원에 달한다.

 이렇게 비싼 가격에도 국내 시험관아기 시술의 성공률은 20%에 머물고 있어, 저소득층 커플은 선뜻 비용을 지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팀은 "난임 부부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출생률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도하는 인공임신 기술 보험화를 논의할 때"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 혈액검사…속도·정확도 높여
혈액검사 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분석해 속도를 높이고 정밀한 결과를 도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기계로봇공학과 양성 교수 연구팀이 혈류 상태에서 적혈구 배열과 적혈구 내부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기술은 실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적혈구의 배열 방향성과 세포 내부 수분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주파수의 전기 신호에 대한 물질의 반응을 측정해 유전 특성이나 분자 구조 변화 등을 분석하는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과 미세 채널로 액체를 정밀하게 제어·분석하는 마이크로 플루이딕 기술을 결합했다. 특히 적혈구 배열 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는 선호 배열 지수 개념을 도입했다. 기존 방식은 대부분 정지 상태의 혈액을 분석했기 때문에 적혈구 응집이나 침전 현상이 발생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 이론 모델은 적혈구 배열 상태나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고려하지 않아 임피던스 스펙트럼(저항 범위) 해석에도 제약이 따랐다. 연구팀은 새로운 기술로 적혈구 수·헤모글로빈 농도·헤마토크릿 등 혈액의 상태와 기능을 평가하는 주요 혈액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