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신장질환 가진 당뇨 환자, 심방세동 위험 3배"

서울대병원 허남주 교수, 신장질환·심방세동 상관관계 확인
"부정맥 위험 높을 경우, 증상 없어도 심전도 체크 필요"

 만성 신장질환을 앓는 당뇨병 환자는 부정맥의 일종인 심방세동이 생길 위험이 3배 정도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신장내과 허남주 교수와 미국 스크립스 중개과학연구소 스타인허블 교수 연구팀은 당뇨병 환자 608명을 1년간 추적·관찰해 만성 신장질환과 심방세동의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이 이따금 매우 빠르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상태를 말한다. 당장 생명에 위협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일이 잦을수록 뇌경색이나 심부전,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

 연구팀은 608명의 당뇨병 환자를 만성 신장질환 보유 여부에 따라 나눈 뒤 1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총 19명에게서 심방세동이 새로 생겼다. 만성 신장질환을 않는 연구 대상자 96명 중에서는 7명(7.3%), 신장질환이 없는 연구대상자 512명 중에서는 12명(2.3%)이었다.

 만성 신장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심방세동 발생할 위험이 3.1배 높았다.

 심방세동 부정맥이 새롭게 발생하더라도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심방세동이 발생한 19명 환자 중 2명에서만 아주 경미한 증상이 있었고, 나머지 환자는 아무런 증상이 없었다.

 허 교수는 "만성 신장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처럼 부정맥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증상이 없다 하더라도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심전도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심혈관 당뇨학회지'(Cardiovascular Diabet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스크 "수술 로봇, 5년내 최고 외과의사 능가할 것"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수술용 로봇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몇 년 안에 인간 의사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28일(현지시간) 머스크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따르면 그는 전날 올린 글에서 "로봇이 몇 년 내에 우수한 인간 외과 의사들을 뛰어넘고, 5년 이내에 최고의 인간 외과의를 능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자신이 설립해 운영 중인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를 언급하며 "뉴럴링크는 두뇌-컴퓨터 전극 삽입에 로봇을 이용해야 했다. 인간이 (이 수술에) 요구되는 속도와 정밀함을 달성하기는 불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한 수술용 로봇 제품이 100여차례의 실제 수술 시험에서 의사들이 예상한 것보다 더 나은 성과를 냈다는 엑스 이용자의 게시물을 공유하며 이런 글을 올렸다. 머스크의 이런 예측에 미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마이크 리(유타)는 "인간에게 승리가 될 것 같다"며 환영했다. 뉴럴링크 홈페이지에는 수술용 로봇에 관해 "우리의 이식에 쓰이는 실은 아주 가늘어서 인간의 손으로 삽입될 수 없다. 우리의 수술용 로봇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 실을 필요한 곳에 정확히 삽입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돼 있다. 전날 머스크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