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병원 이용자 80%는 진료비 부담…불만족 1위는 과잉진료"

 동물병원 이용자 10명 중 8명은 진료비에 부담을 느끼고, 과잉진료로 인한 불만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지난 10월 13~17일 동물병원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0.7%는 진료비에 부담을 느꼈다고 답했다.

 동물병원의 1회 평균 진료비는 8만3천원으로, 지난해 조사된 7만5천원보다 9.6% 늘었다. 진료비로 10만원 이상 지출한 소비자도 32.3%에 달했다.

 동물병원 관련 소비자 불만족으로는 과잉진료 의심이 16.7%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진료비 사전 고지 없음(15.8%), 진료비 과다 청구(14.1%) 등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38.3%는 동물병원 간 진료비를 비교하지 않는다고 답했는데 진료비 정보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34.6%로 가장 많았고, 전문적인 내용이어서 비교 자체가 어렵다는 이유가 27.4%를 차지했다.

 동물병원에서 진료비 관련 정보를 얻은 시점이 진료 전인 경우는 24.3%에 그쳤다.

 진료비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는 총액만 영수증을 통해 받거나(26.9%) 말로 설명을 듣는 경우(21.5%)가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진료 항목별로 상세한 내용이 적힌 영수증을 받은 경우는 25.7%에 그쳤다.

 동물병원 이용 시 필요한 개선점(복수 응답)으로 가장 많이 선택된 것은 실내 진료비 정보 게시 의무(63.1%)였고 진료비 비교 플랫폼의 활성화를 원하는 소비자도 63.1%였다.

 희망하는 진료비 제공 수준으로는 '세부적인 진료 항목별 금액과 처치 내용'이 39.9%로 가장 많이 꼽혔고, '주요 진료 항목 금액과 처치 내용'은 25.5%, '세부 항목별 금액'은 23.9%였다.

 
동물병원 진료비 제공 시점

 한국소비자연맹은 "전반적으로 동물병원 진료비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것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많다"면서 "치료 전 진료 항목 관련 정보를 제공해 동물병원 이용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고 소비자의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